G7·G20은 금융위기 ‘5개 합의안’ 내놔
주말 연쇄회담 “모든 조처 다할 것”…시장안정 될지 주목
대공황 이후 최악의 금융위기를 맞고 있는 세계는 지난주말 주요 7개국(G7), 주요·신흥 20개국(G20), 국제통화기금(IMF), 세계은행(WB) 등이 연쇄 회담을 열어 금융위기에 공동 대처하기로 전격 합의했다. 프랑스·독일 등 유로화 사용 15개국의 모임인 유로존과 영국은 12일(현지시각) 각국 정부가 국채발행을 통한 재원을 마련해 내년 말까지 은행간 대출 보증을 해주기로 하는 등 한 발짝 더 나아간 구체적 합의안을 마련했다. 이로써 지난 한 주 공황 상태에 빠졌던 시장이 빠르게 안정을 되찾을지 주목된다.
유로존과 영국은 프랑스 파리에 모여 금융위기에 대한 유럽 차원의 공동대응책을 논의한 끝에 △내년 말까지 정부의 은행간 대출 보증(지급보증) △주요 은행의 도산 방지 △파산 직전에 몰린 은행의 재자본화(정부의 지분 인수 등을 통한 자본 확충) 등에 공동 합의했다고 <아에프페>(AFP) 통신이 12일 합의안 초안을 입수해 전했다. 자세한 내용은 조만간 공개될 예정이다.
특히 각국 정부가 은행간 대출을 보증하는 특단의 대책을 내놓게 된 배경엔, 금융위기로 인한 신용경색으로 은행끼리의 대출마저 얼어붙어 금융시스템을 마비시키고 있는 탓이다. 정부가 은행의 대출을 보증해줌으로써, 은행간 신뢰를 조성하고, 대출을 정상화하겠다는 강한 의지인 셈이다. 여기에 필요한 돈은 각국이 채권을 발행해 조달하겠다는 계획이다.
이런 비상 조처는 금융당국의 철저한 감독 아래 한시적으로 적용될 것이라고 <에이피>(AP) 통신이 전했다.
고든 브라운 영국 총리는 회담이 끝난 뒤 “며칠 안으로 은행 시스템의 신뢰가 회복되리라 기대한다”고 말했다고 외신들이 전했다.
유로존과 영국이 합의한 내용은 앞서 주요 7개국의 원칙적 합의를 구체적으로 진전시킨 내용이라 할 수 있다.
미국 등 주요 7개국 재무장관과 중앙은행 총재들은 10일(현지시각) 미국 워싱턴에서 긴급회담을 한 뒤 낸 공동 합의문에서 “현 상황이 긴급하고도 예외적인 행동을 요구한다는 데 주요 7개국이 합의했다”며 “우리는 세계경제의 성장을 지탱하고, 신용 흐름의 회복과 금융시장 안정을 위해 필요한 조처를 다 하겠다”고 밝혔다. 주요 7개국은 이와 함께 △주요 금융기관의 파산 방지 △금융기관에 유동성 공급 확대 △자산 유동화 시장의 정상화 등 5가지 합의안을 발표했다.
이번 합의는 개별 국가 차원의 잇따른 구제금융에도 불구하고, 미 다우지수가 지난 한 주 동안 18.2% 폭락하는 등 전세계 증시가 20% 안팎 동반 폭락하는 데 맞선 전지구적 공동 대처인 셈이다.
이날 주요 7개국에 중국과 한국 등 13개 신흥 경제개발국을 포함한 주요·신흥 20개국 재무장관과 중앙은행 총재들도 워싱턴에서 긴급회담을 열어 “전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금융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경제·금융 조처들을 취하기로 결의했다”고 밝혔다. 11일부터 세계은행과 합동 연차총회를 개최한 국제통화기금도 이날 주요 7개국의 합의 내용을 “강력히 지지한다”고 밝혔다. 조지 부시 미국 대통령은 주요 7개국의 합의를 지지하는 성명을 통해 “나는 세계 주요 경제국들이 우리가 직면한 도전들을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확신한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국제통화기금은 “세계 금융시스템이 거의 붕괴 직전”이라며, 세계 주요국에 “더욱 대담한 행동을 취할 것”을 촉구했다. 금융위기에 대한 전지구적 공동 대응과 함께 개별 국가들의 대응 움직임도 좀더 적극적이고 과감한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미 일간 <뉴욕 타임스>는 “미 행정부가 조만간 직접 은행 지분을 매입하는 방향으로 나아갈 것”이라고 밝혔다. 12일 하룻동안에만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아랍에미리트연합, 포르투갈 등이 자국 내 모든 계좌의 예금을 보호하겠다고 밝혔다. 노르웨이는 자국 은행을 지원하기 위해 545억달러의 채권을 발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고 <아에프페> 통신이 보도했다. 조세 마누엘 바로소 유럽연합(EU)집행위원회 위원장은 유로존과 영국간 회담에 앞서 “우리는 지금 이 전례 없는 위기를 다루는 데 전례 없는 협력의 수준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류이근 기자, 워싱턴/김수헌 기자 ryuyigeun@hani.co.kr <한겨레 관련기사> ▶추가파산 방지안 등 선진-신흥국 입장 제각각
▶강만수 장관 “은행 외채연장때 외환보유고로 지원”
▶“G20회의 미국이 먼저 요청강장관도 신흥국 공조 강조”
▶미 증시 ‘내 생애 최악의 일주일’
▶끝모를 폭락장…‘쪽박찬 개미들’ 아우성
▶[한토마] 다음주부터 환시장에 거대한 충돌이 발생하겠네요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