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8.12.04 20:16 수정 : 2008.12.04 20:16

독일, 1인당 500유로 쿠폰 지급
프랑스, 새차 살때 1천유로 지원
일본, 1인당 최고 2만엔 현금 분배

2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하며 경기후퇴기에 진입한 독일의 집권 연정 사민당은 3일 8200만명의 전국민에게 소비재를 살 수 있는 쿠폰(바우처) 지급을 제안했다. 1인당 500유로(632달러·약 93만원)를 이번 크리스마스 때 지급해, “깊어지는 경기후퇴의 방향을 돌리고, 쇼핑을 촉진”하기 위한 것이라고 <블룸버그 뉴스>가 전했다.

세계적 경기침체 속에서 많은 국가들이 경기를 띄우려 온갖 경기부양책을 선뵈고 있다. 그야말로 ‘백화제방’이다. 도로, 교량, 댐 등 사회인프라 건설 등 고전적 재정정책에 머물지 않고 이색적인 방법마저 동원되고 있다. ‘헬리콥터에서 돈을 뿌려야 한다’는 극약처방 수준의 방법들이 나오고 있는 것이다.

200억유로의 경기부양책을 내놓은 프랑스는 중고차를 폐차하고 새 차를 사는 국민에게 1천유로를 지원할 방침이라고 <로이터> 통신이 3일 보도했다. 불황과 신용경색으로 고통을 겪는 자국의 자동차업계를 살리고, 경제 회복을 꾀하려는 자구책이다.

1990년대 사회간접자본에 1조4천억달러를 투자했던 일본은 최근에 아예 현금을 뿌리고 있다. 아소 다로 내각은 국민 1인당 1만2천~2만엔씩 분배하겠다고 발표했다. 대만도 내년 초 2300만명에 이르는 자국민들에게 1인당 107달러짜리 쇼핑 쿠폰을 지급할 계획이라고 지난 달 밝혔다.

1070억달러의 세금 환급과 3조4천억원의 유가환급금을 각각 실시한 미국과 한국의 감세정책도 경기 부양책에 포함되지만, 일본과 독일, 대만처럼 조세와 관련 없이 전 국민을 대상으로 사실상 현금을 주는 건 더욱 적극적인 경기부양책이다.

최근 수출둔화로 내수부양에 초점을 맞춘 중국 정부는 수억명의 농민이 컬러텔레비전, 냉장고, 세탁기, 휴대전화 등 4대 가전제품을 구입할 때, 가격의 13%를 보조금으로 지급하는 ‘가전하향’ 정책을 1일 발표했다. 가전하향 정책을 통해 앞으로 4년 동안 4억8천만대의 가전제품 추가 판매와 9200억위안(약 184조원)의 내수진작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류이근 기자 ryuyigeun@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