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월별 실업률 추이
|
아직 정부지출에 의존…소비 여전히 ‘싸늘’
실업 등 체감경기 개선엔 시간 걸릴듯
민간투자 감소세 둔화는 긍정적 신호
미국의 경기침체 속도가 주춤해지면서 ‘미국 경제가 바닥을 치고, 3분기에는 플러스 성장으로 전환할 것’이라는 주장이 잇따른다. 그러나 실업 문제가 해결되기 전에는 ‘그래프 위 바닥 치기’에 그칠 것이라는 우려도 여전하다.
래리 서머스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은 2일 <엔비시>(NBC) 방송에 출연해 “미국 경제가 올 하반기에는 성장을 다시 시작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밝혔다. 티머시 가이트너 재무장관도 <에이비시>(ABC) 방송에 나와 “하반기에는 긍정적인 성장을 볼 것”이라고 말했다. 앨런 그린스펀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전 의장은 같은 방송에서 “경제가 바닥을 쳤으며, 7월 중순부터 반등을 시작한 것으로 확신한다”며 가장 분명한 어조로 낙관론을 펼쳤다. 그는 특히 “3분기에 2.5% 성장도 할 수 있다”고까지 말했다.
낙관론의 근거는 올해 2분기 미국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이 -1.0%로 지난 두 분기의 -6~-5%대의 급속한 추락을 이어가지 않은 데 따른 것이다. 세부 항목을 봐도 미국 경제가 ‘바닥을 친 것’으로 볼 근거가 적지 않다. 5월 20개 대도시 집값이 3년만에 올랐고, 6월 주택판매량은 8년만에 최대 폭인 11%나 증가했다. 기업투자 감소세도 둔화돼 제조업 경기회복을 기대하게 했다.
|
미국 분기별 국내총생산(GDP) 증가율 추이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