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31일 이탈리아 비아레조에서 열린 축제에서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 모양으로 생긴 인형이 퍼레이드 대열에 섞여 있다. 이 축제에선 이탈리아나 세계 유명 인사의 캐릭터 모양으로 만든 인형들의 퍼레이드가 펼쳐진다. 비아레조/AFP 연합뉴스
|
증권사도 은행 계열사면 고위험투자 불가
프 지지…한국은 “우리 갈 길 있다” 고집
11월 ‘G20’회의서 의제 가능성…처지 난감
최근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발표한 강력한 은행규제 방안(‘오바마 안’)을 놓고 우리 정부가 딜레마에 빠졌다. 그동안 대형화와 상업은행·투자은행 겸업을 특징으로 하는 미국식 금융기관을 ‘롤 모델’로 놓고 금융정책을 추진해왔는데, 정작 미국에선 이런 흐름을 완전히 뒤집겠다는 규제안을 내놓았기 때문이다. 특히 오바마 안이 국제적 금융공조 방안의 하나로 떠오를 가능성이 높아, 올해 11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의장국을 맡은 정부로서는 더욱 난감한 상황에 빠졌다.
■ 오바마 개혁안 핵심 이슈로 은행의 고위험투자를 금지하는 오바마 안은 금융위기를 계기로 지난해부터 활발히 논의된 금융규제 강화 흐름의 ‘결정판’이라고 할 만하다. 금융자본주의의 심장부인 미국의 대통령이 공개적으로 추진을 표명한 만큼 그 무게가 만만치 않다. 지난주 열린 다보스포럼의 화두도 오바마 안이었다. 니콜라 사르코지 프랑스 대통령, 장클로드 트리셰 유럽중앙은행(ECB) 총재 등이 이미 공개적인 지지를 밝히고 나섰다. 오는 6월 캐나다, 11월 서울에서 열릴 G20 정상회의에서도 주요 의제로 채택될 가능성이 높다.
물론 이 방안이 미국에서 현실화할지는 미지수다. 미국 거대 금융자본의 로비를 뚫고 의회를 통과하는 것도 쉽지 않고, 이해관계가 서로 다른 주요국들의 합의를 거쳐 새로운 ‘글로벌 스탠더드’로 자리잡기도 만만치 않다. 하지만 일회성 이벤트로 끝날 사안이 아닌 것 역시 분명하다. 신보성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오바마 안은 ‘포퓰리스트 정책’이 아니라 금융산업 전반에 대한 치밀한 계산 끝에 나온 방안”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12월 미 상원의 존 매케인 의원(공화당)과 마리아 캔트웰 의원(민주당)은 이보다 더 강력한 ‘상업은행과 투자은행의 완전한 분리’를 내용으로 하는 법안을 발의하기도 했다.
|
오바마 은행 개혁안과 한국 금융체계
|
|
오바마의 은행개혁안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