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0.07.15 19:28 수정 : 2010.07.15 19:28

월가 ‘인공지능’이 애널리스트 대체?

‘투자 예측’ 프로그램 인기

미국 월가에서 투자 결정을 컴퓨터의 인공지능에 맡기는 경우가 점점 현실로 나타나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이 14일 보도했다.

인공지능은 단순히 자료를 입력하면 컴퓨터가 이를 적용하는 지금까지의 프로그램과는 달리, 컴퓨터 시스템이 투자 과정에서 일종의 교훈을 학습한 뒤 이를 다시 수정해 적용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이 신문은 투자에 인공지능을 사용하는 대표적 예로 700만달러 소규모 헤지펀드 업체인 리벨리언 리서치를 들었다. 리벨리언 리서치는 인공 지능을 투자에 사용한 첫해인 2007년에 17%, 2008년 -26%, 2009년에는 41%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2008년에는 마이너스 수익률을 냈지만, 다우존스 평균 하락율 34%에 견주면 선방한 편이다. 이 회사 인공지능 시스템 책임자인 스펜서 그린버그는 “인간은 향상되지 않아도 컴퓨터와 알고리즘은 더 빨라지고 더 강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리벨리언 리서치뿐만 아니라 다른 헤지펀드인 르네상스 테크놀로지스, 시리벨럼 캐피털 등도 인공 지능을 투자에 활용하고 있다고 전했다.

조기원 기자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