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원자바오 중국 총리(왼쪽)가 6일 중-유럽연합 정상회담에 앞서 헤르만 판롬파위 유럽연합 정상회의 상임의장(가운데), 조제 마누엘 바호주 유럽연합 집행위원장 등과 인사하고 있다. 브뤼셀/신화 연합뉴스
|
중국과 정상회담서 대놓고 ‘절상’ 요구
원자바오 “왜 중국만 비난받나” 반발
회담뒤 공동기자회견까지 취소 냉랭
원 총리는 “많은 중국 수출기업의 이윤율이 2~3%밖에 되지 않아, 위안화가 20~40% 절상되면 대규모 부도가 발생하고 노동자들은 실업자가 돼 사회안정은 어려워진다”며 “중국 경제, 사회에 문제가 생기면 세계에도 재난이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원 총리의 발언은 준비된 원고에는 없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위안화 문제에는 양해를 구하는 수준이던 중국 지도부가 직설적 어조로 반발한 것은 이례적이다. 원 총리는 전날 장클로드 트리셰 유럽중앙은행 총재, 장클로드 융커 유로존 재무장관회의 의장한테서 위안화 절상을 강하게 요구받자 이날 공개석상에서 정면 반박한 것으로 보인다.
이어 열린 중-유럽연합 정상회담에서도 대립은 계속됐다. 외신들은 조제 마누엘 바호주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이 “강대국에는 강한 책임의식이 요구된다”며 위안화 절상을 요구했다고 전했다. 원 총리는 “왜 중국만 비난받아야 하나. (유럽은) 미국한테 질문을 던져야 한다”며 맞선 것으로 전해졌다. 또 “몇몇 유로존 국가들이 곤경에 빠졌을 때 우리는 방관하지 않고 채권을 사줬다”며 섭섭함을 드러냈다.
|
중국 위안화 둘러싼 미·유럽 vs 중국 공방
|
ebon@hani.co.kr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