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0.12.16 08:23 수정 : 2010.12.16 08:23

“경기회복세에도 실업률 높고 소득증가 더뎌”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국내외의 비판에도 불구하고 ‘양적 완화’ 기조를 유지하겠다고 밝혔다.

연준은 14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 회의 뒤 발표한 성명에서 “경기회복 추세를 강화하기 위해 지난달 발표한 대로 증권 보유량을 확대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지난달 3일 회의에서 재무부 장기채권 6000억달러(약 692조원)어치를 8개월에 걸쳐 사들이기로 한 것을 계획대로 추진하겠다는 뜻이다.

연준은 “가계지출이 완만하게 늘고 있으나 높은 실업률과 더딘 소득 증가율 등 때문에 한계를 보이고 있다”며 지난달과 엇비슷한 경기 진단을 내놓고, 돈을 풀어 금리를 낮추고 경기를 띄우겠다는 뜻을 재확인했다. 또 연준은 “지난달 회의 이후 경기회복이 계속되고 있지만 실업률을 낮출 만큼 충분하지는 않다”고 밝혔다. 당분간 실업률 하락을 최우선 목표로 삼겠다는 말로, 연준은 기준금리도 현재 수준(0~0.25%)으로 유지시켰다.

연준의 입장은 양적 완화에 대한 비난과 수정 요구에 개의치 않겠다는 말로도 받아들일 수 있다. 매달 750억달러를 풀겠다는 계획에 대해 미국 내에서는 인플레이션을 부추긴다는 우려가 나왔다. 유명 투자가인 짐 로저스 로저스홀딩스 회장은 “벤 버냉키 연준 의장은 돈 찍는 것밖에 모른다”고 비난하기도 했다.

<뉴욕 타임스>는 연준이 지금 상황에서 양적 완화 규모를 축소하면 금융시장이 혼란해질 것이라는 주장과, 돈이 풀리는데도 국채 수익률은 올라가고 시중금리 인하 효과도 나타나지 않는다는 비판론이 함께 나오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본영 기자 ebon@hani.co.kr

[한겨레 주요기사]

■ ‘형님’ 아들 목장 근처 ‘이명박 도로’ 아세요?
■ 김승연 회장 “좀 심한거 아니에요?”
■ ‘어지럼증 덜한’ 3D TV 나온다
■ 박근혜, ‘복지론’ 내걸고 대권행보?
■ 대통령·정무수석·장관·도지사…주먹질 의원에 줄줄이 격려전화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