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9.15 19:46 수정 : 2005.09.15 19:46

‘사업하기 좋은 나라’ 1위 비결

지난 14일 세계은행이 발표한 ‘2006년 사업환경’ 보고서에서 뉴질랜드가 가장 사업하기 좋은 나라로 뽑힌 비결은 무엇일까?

발표된 평가 지표를 보면 뉴질랜드는 각종 사업의 인허가 처리가 쉬울 뿐더러, 노동시장 등에서의 각종 규제도 적다. 또 은행융자와 계약 안전 문제, 대외무역에서도 사업자들에게 유리한 환경이 조성돼 있는 것으로 평가됐다.

그러나 현지에서 사업을 벌이는 한국인들의 말을 들어보면 뭐니뭐니해도 뉴질랜드에서 사업할 맛이 나게 하는 동력은 뉴질랜드 공무원들에게서 나온다. 타우랑아 변두리에서 식품점을 하고 있는 교민 박진일(57)씨가 겪은 사례는 이를 실감하게 한다.

박씨는 매출을 늘리기 위해 주류 판매허가가 필요했다. 하지만 허가를 받으려면 밟아야 할 절차가 복잡하다. 우선 인근주민들의 반대가 없어야 한다. 그리고 2차례에 걸쳐 신문을 통해 박씨 상점의 주류판매 진출 사실을 알려야 한다. 주변 상인들의 반대 여부를 확인해야 하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복잡한 사업신청서를 작성하는 일이었다. 언어문제를 극복하기 힘들었던 그는 거의 1년이나 서류작성에 매달리다 하는 수 없이 변호사를 찾았다. 변호사는 자그마치 5000달러(360만원)의 수수료를 요구했다.

엄두가 안난 박씨는 시청으로 가서 담당공무원인 파올라 리리누이를 찾았다. 그에게 자신의 사정을 털어 놓자 파올라는 즉석에서 기꺼이 도와주겠고 나섰다. 장장 3시간 동안 파올라는 박씨의 주류 판매허가서류를 대신 작성해 주었고, 3주 뒤에 박씨는 그토록 바라던 주류판매면허를 얻을 수 있었다. 매출이 늘면서 그는 중견사업가로 변신했다.

이런 예는 뉴질랜드에서 흔하게 볼 수 있다. 뉴질랜드 공무원들은 창업을 원하는 사람을 적극적으로 돕는 자세가 돋보인다. 서류가 다 갖춰지지 않으면 공무원이 알아서 도와준다. 자신들은 국민의 공복임을 철저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이다.

뉴질랜드는 경제자유지수도 8.2점으로 3위를 기록했다. 이번 조사에서 경제자유지수가 높은 나라는 국민소득과 경제성장률, 소득분배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오클랜드/이영범 통신원 dlflrk@yahoo.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