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에서부터) 미국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이 이탈리아에 반환한 그리스 조각가 유포로니우스의 도자기. 독일 하이델베르크대가 그리스에 돌려준 파르테논 신전의 발꿈치 조각상. 대영박물관이 소장한 파르테논 신전의 최고 걸작 조각인 ‘엘진 마블’
|
그리스·이탈리아, 재외 문화재 환수 잇단 성과
끈질긴 협상·소송…‘박물관 제국주의’ 종말 징후
한국은 약탈당한 7만여점중 5천여점 회수 그쳐
미국 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은 지난 5일, 2500년 전 그리스의 화가 유프로니오스의 작품이 그려진 항아리를 이탈리아에 돌려주기로 결정했다. 축제 때 포도주와 물을 섞던 이 항아리는 겉면에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신들의 사자’ 헤르메스의 모습이 정교하게 그려져 있어, 그리스 도예의 최고봉 가운데 하나로 꼽힌다.
독일 하이델베르크대 박물관은 지난 달 15일, 파르테논 신전 북쪽 벽에 새겨져 있던 조각상의 일부를 그리스에 돌려주겠다고 발표했다. 기원전 5세기 그리스의 조각가 피디아스가 만든 남성상의 발꿈치에 해당하는 이 유물은 흔히 파르테논 신전의 문패로 통한다. 뒷면에 ‘파르테논’이라는 글자가 또렷이 박혀 있어서다.
전쟁과 약탈, 도굴과 밀거래를 통해 세계 유수의 박물관으로 뿔뿔이 흩어졌던 예술품들이 속속 귀환하고 있다. 제2차 세계대전 직후 이뤄졌던 약탈품 청산을 떠올리게 할 정도다. 유럽과 미국의 이른바 ‘박물관 제국주의’가 몰락하는 징후라는 지적까지 나온다. 미국의 고고학자 존 파파도풀로스는 “인류가 마침내 누가 문화재를 가져야 하느냐는 논쟁의 결론에 이르렀다”고 <로스앤젤레스타임스>에서 평가했다.
예술품의 잇단 귀환은 무엇보다 빼앗긴 문화재를 되찾으려는 나라들의 끈질긴 노력에 힘입은 바 크다. 그리스 정부는 하이델베르크대 박물관의 발꿈치 조각을 돌려받기 위해 독일 정부와 여러 차례 협상을 펼쳤다. 유럽 곳곳에 흩어진 파르테논 신전 조각을 반환받는 선례를 남기기 위해서였다. 이탈리아 정부는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에서 항아리를 되찾기 위해 이 항아리가 도굴됐다는 증거를 찾아내 미국 법원에 들이댔다.
|
‘엘진 마블’ 작품이 전시된 대영박물관.
|
한국도 이런 장벽을 넘지 못하고 있다. 2005년 현재 외국에 소장된 한국 문화재는 7만여점으로 추산된다. 그러나 1948년 정부 수립 이후 돌려받은 문화재는 5000여점에 불과하다. 최근 프랑스가 1886년 강화도 외규장각에서 약탈해간 의궤를 돌려받기 위해 정부 차원의 전담팀을 꾸렸으나, 성과는 불확실하다. 북한도 최근 재개한 일본과 수교 협상에서 문화재 반환를 요구하고 있다. 유강문 기자 moon@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