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미 외교장관 악수 반기문 외교부 장관이 14일 국무부에서 열린 한미 양국 외교 장관 회담에 앞서 콘돌리자 라이스 국무장관과 함께 악수를 나누고 있다. 연합
|
한미 양국은 북한의 핵무기 보유선언의 기본의도가 협상력 제고에 있다는 데 일단 인식을 같이 하고 북핵 6자회담에 북한이 빠른 시일내 복귀하도록 6자회담 참여국간 양자, 다자간 외교 노력을 신속하고 강력히 전개해 나가기로 합의했다. 반기문 외교장관과 콘돌리자 라이스 미 국무장관은 14일 오전(현지시간)국무부에서 조지 부시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첫 회담을 갖고 한미관계에 대해서도 `포괄적이고 역동적인 동반자 관계'를 지속 발전시키기 위해 공동노력키로 합의했다. 북핵 문제와 관련, 양국 장관은 북핵 문제의 외교적.평화적 해결 원칙을 재확인하고 이를 위해 특히 "중국의 역할이 대단히 중요하다"는 데 인식을 같이 했다고 반장관이 회담 후 밝혔다. 반 장관은 중국과 협의를 위해 "전화통화 외에 방중 가능성도 염두에 두고 일정을 맞춰볼 것"이라고 말했다. 회담에서 라이스 장관은 앞으로 북핵관련 외교노력과 관련, "6자회담 과정의 붕괴는 받아들일 수 없으며, 한반도 비핵화 원칙은 계속 준수돼야 하고, 북한에 의한(핵물질 등의) 확산 위험을 경계해야 한다"는 3대 원칙을 제시했고, 반 장관은 이같은 원칙을 관철시키기 위해 긴밀 협의해 나가자고 공감을 표시했다. 북한의 핵무기 능력에 대해 반 장관은 미국측에 "한미 정보 당국간 좀더 정보를파악해 판단기준을 갖는 게 중요하다"고 제의했으며 미국도 이에 동의했다고 전했다. 한미 관계와 관련, 양국 장관은 양국간 동맹의 미래상을 더욱 구체화하기 위한체제를 갖춰나가기로 하고 이를 위해 오는 11월 부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정상회의 때를 비롯해 양국 정상회담을 개최키로 했다. 또 주요대화 채널로 양국 외교차관간 전략대화를 만들어 오는 6월 이전 이태식 차관과 로버트 졸릭 부장관 지명자간 1차회의를 열며 두 나라 외교부.국방부.국가안전보장회의 등 외교안보기관 국장급 고위실무자들간 `리트리트(자유토론회)'도 가급적 빠른 시일내에서 워싱턴 근교에서 갖기로 했다.
라이스 장관은 회담 모두에 "한국과 미국은 매우 강력한 동맹관계를 유지해왔다" 면서 "양국은 공통된 가치를 갖고 있으며 (동북아) 지역에서 많은 도전들을 함께해결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반 장관이 외교장관 회담 후 만난 스티븐 해들리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이라크 3대 파병국인 한국 국군의 이라크내 활동이 한미동맹의 상징"이라며 "최근 한미관계가 대단히 양호하게 발전한 것은 노무현 대통령의 지도력에 힘입은바 크다"고 말했다고 반 장관이 전했다. 반 장관은 국방부를 방문, 도널드 럼즈펠드 장관 및 폴 울포위츠 부장관과도 면담하고 양국간 방위비 협상을 용산기지 이전 협상처럼 한미동맹을 더욱 공고화하는방향으로 빠른 시일내 타결키로 의견을 모았다. 한편 이날 외교장관 회담에서 라이스 장관은 크리스토퍼 힐 주한대사를 6자회담미국측 수석대표로 임명키로 했다고 밝혔다.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로 내정된 힐 대사는 일단 주한대사로서 6자회담의 미국측수석대표를 맡아 6자회담 다른 참여국 수석대표와 양자 혹은 다자접촉을 갖고 북한의 6자회담 복귀를 위한 외교노력을 강화해나갈 것으로 알려졌다. (워싱턴/연합뉴스)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