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이 신문은 별도의 서울발 기사를 통해 "4월의 교과서 검정결과 발표를 앞두고 한국 언론이 벌써부터 반일 캠페인을 시작했다며 "배경에는 후쇼샤판에 대한반대운동을 진행 중인 일본의 교원노조단체와 지식인에 의한 공동투쟁을 호소하고독도를 둘러싼 영토문제에서 한국 내 반일감정을 끌어올리려는 속셈이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한국 언론의 교과서 비판은 '왜곡'이라고 (미리) 결정한 뒤에 입맛에 맞지않는 부분을 과장한 구태의연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아사히신문과 마이니치신문도 문부과학성의 검정이 진행되고 있는가운데 지자체 교육위원회에 신청본이 유출된 의혹이 있다는 다카시마 교수 등의 주장을 간단히 전했다. (도쿄/연합뉴스)
|
일 언론, 교과서파문 축소보도…반일캠페인 몰아 |
일제 식민통치를 미화한 우익계열 후쇼샤판 중학교 역사ㆍ공민교과서 신청본의 내용이 한국에서 11일 공개, 파문이 일고 있으나 일본 정부는 공식반응을 삼갔고 언론은 유출 경위에만 주목하거나 반일캠페인으로 몰아붙였다.
일본 정부는 파장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일체의 공식반응을 내놓지 않고 있으며 사태의 추이를 관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도쿄의 외교 소식통은 섣불리 대응했다가 오히려 한국의 반발을 살 수도 있다는 점을 우려, 우선 화살을 비켜가려는 속셈인 것으로 분석했다.
다만 시모무라 하쿠분(下村博文) 문부과학성 정무관은 11일 중의원 상임위 답변에서 교과서 검정 때 주변 국가를 배려하도록 한 이른바 `근린제국조항'이 자학적역사 교육을 조장하고 있다고 해 파문을 일으켰던 최근 자신의 발언을 해명했다.
그는 "조항 그 자체의 내용은 지당한 내용이며 그 자체를 부정하는 것은 아니다"며 "조항이 생긴 이후 강제연행이나 종군위안부 관련 기술이 늘었다가 최근에는 줄었다는 사실을 말한 것"이라고 말했다.
현지 언론은 한국에서의 교과서 공개와 파문 자체는 아예 취급하지 않거나 작게다루면서 유출 경위에만 주목하는 등 핵심을 비켜가는 보도 태도가 두드러졌다.
우파성향의 산케이신문은 전날 다카시마 노부요시(高嶋伸欣) 류큐대 교수등이 기자회견을 갖고 지방자치단체 교육위원회 관계자 등을 통해 입수했다는 교과서 신청본을 공개한 데 대해 '난폭한 행위'라고 지적하면서 "외압을 통한 검정이고 일본의 교과서 검정제도 자체를 파괴하려는 위험한 정치활동"이라고 주장했다.
이 신문은 "신청본이 공개된 것은 유감"이라는 문부과학성 관계자의 발언도 전했다.
특히 이 신문은 별도의 서울발 기사를 통해 "4월의 교과서 검정결과 발표를 앞두고 한국 언론이 벌써부터 반일 캠페인을 시작했다며 "배경에는 후쇼샤판에 대한반대운동을 진행 중인 일본의 교원노조단체와 지식인에 의한 공동투쟁을 호소하고독도를 둘러싼 영토문제에서 한국 내 반일감정을 끌어올리려는 속셈이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한국 언론의 교과서 비판은 '왜곡'이라고 (미리) 결정한 뒤에 입맛에 맞지않는 부분을 과장한 구태의연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아사히신문과 마이니치신문도 문부과학성의 검정이 진행되고 있는가운데 지자체 교육위원회에 신청본이 유출된 의혹이 있다는 다카시마 교수 등의 주장을 간단히 전했다. (도쿄/연합뉴스)
특히 이 신문은 별도의 서울발 기사를 통해 "4월의 교과서 검정결과 발표를 앞두고 한국 언론이 벌써부터 반일 캠페인을 시작했다며 "배경에는 후쇼샤판에 대한반대운동을 진행 중인 일본의 교원노조단체와 지식인에 의한 공동투쟁을 호소하고독도를 둘러싼 영토문제에서 한국 내 반일감정을 끌어올리려는 속셈이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한국 언론의 교과서 비판은 '왜곡'이라고 (미리) 결정한 뒤에 입맛에 맞지않는 부분을 과장한 구태의연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아사히신문과 마이니치신문도 문부과학성의 검정이 진행되고 있는가운데 지자체 교육위원회에 신청본이 유출된 의혹이 있다는 다카시마 교수 등의 주장을 간단히 전했다. (도쿄/연합뉴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