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 18일 오전 서울 여의도에서 열린 ‘일본 역사왜곡 해결을 위한 한-일 시민단체 연대집회’에 참석한 야노 히데키(오른쪽부터) 강제연행기업 책임추구재판 전국네트워크 사무총장, 아리미쓰 겐 일본의 과거청산을 요구하는 국제협의회 일본위원회 대표, 모치하시 다몬 전국네트워크 대표 등 일본 참석자들이 일본의 역사교과서 개악 중단과 동아시아 침략 사실에 대한 반성을 촉구하고 있다. 장철규 기자 chang21@hani.co.kr ‘No 역사왜곡 - Yes 동아시아 평화’
“한국과 일본 두 나라의 평화로운 시민세력이 협력해 역사왜곡 문제를 풀어가야 합니다.” “맞습니다. 양국 사이가 어려울수록 두 나라 시민들이 깊은 대화를 나누며 문제를 해결해야 합니다.” 일본의 역사왜곡 교과서 문제와 시마네현의 ‘독도(다케시마) 날’ 제정으로 일본과의 감정이 극도로 나빠지고 있는 가운데, 두 나라 시민단체들이 사태 해결을 위해 연대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우리나라의 ‘아시아평화와 역사교육연대’(역사교육연대)와 일본의 ‘과거청산을 요구하는 국제협의회 일본위원회’, ‘강제연행기업 책임추구재판 전국네트워크’는 18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회원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집회를 열어 두 나라가 냉정을 되찾고 사태 해결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참가자들은 일본 외상의 담화와 관련해 “4월 초로 예정된 교과서 검정이 어떻게 되느냐에 따라 담화의 진실성 여부가 드러날 것”이라며 “일본 정부가 검정 통과를 막고 올바른 역사교육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참가자들은 ‘노 역사왜곡’ ‘예스 동아시아 평화’라고 적힌 손팻말을 흔들며 “동아시아 평화를 위해 우리나라와 일본의 화해는 무엇보다 중요하며, 그를 위해서라도 일본은 역사왜곡 시도를 당장 그만둬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극단적 반일감정 사태 악화시켜 왜곡교과서 채택 반대운동 함께
특히 참가자들은 극단적인 반일 감정을 경계하고 건강한 시민사회 단체들의 연대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역사교육연대 양미강 상임공동운영위원장은 “오늘 집회에 참가한 일본 시민단체 회원들처럼 일본에도 건강한 시민들이 더 많다”며 “극단적인 반일 감정은 사태 해결에 도움이 되기보다는 사태를 악화시키기만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일본의 ‘과거청산을 요구하는 국제협의회 일본위원회’의 아리미쓰 겐은 “한국에서 반일 감정의 목소리가 높아질수록 일본 우익도 힘을 얻게 될 것”이라며 “전략적으로 냉철하게 일본의 시민들과 의견을 나누는 것이 문제를 해결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말했다. 그는 “한국과 일본의 시민단체들이 함께 힘을 모아 억지 주장을 펴는 우익세력을 없애 나가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두 나라 시민단체는 이날 오후에는 서울 대방동 여성프라자에서 연찬회를 열어 왜곡된 역사 교과서의 검정 통과 반대운동과 채택 반대운동을 연대해 벌여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일본의 전국적 단위의 시민단체 네트워크인 ‘역사교육아시아네트 재팬’은 지역별 교육위원회가 왜곡 역사 교과서를 채택하지 못하도록 서명운동과 함께 전국적인 캠페인을 벌여나갈 계획이다. 한편, 19일에는 한국과 일본의 교육 관계자들이 일본 역사교과서 왜곡에 대응하는 공동 세미나를 연다. 교육인적자원부는 이날 오전 10시부터 오후 6시30분까지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문화교류센터(소장 한도현) 주최로 연구원에서 ‘한-일 역사공통 인식 만들기’를 주제로 일본 교육관계자 초청 세미나를 개최한다고 18일 밝혔다. 일본 역사교과서 왜곡 대책의 하나로 일본의 교육계와 공동대응하기 위해 여는 이 행사에는 일본 쪽에서 ‘일-한 조선사관계연구회’ 3명, 일본 지바현 히로시마 일교조 소속 회원 6명이 초청됐다. 한국 쪽에서는 전교조 대구지부 관계자 5명과 재일본 한국교수 1명이 참석한다. 이 세미나에서 일본 쪽 참석자들은 △일본 역사교육의 과제 △역사교육과 일-한 관계사 이해의 새로운 방향 등의 주제 발표를 통해 후소사판 역사교과서의 편향성과 객관적 역사기술의 중요성을 강조할 것으로 보인다. 강성만 이형섭 기자 sublee@hani.co.kr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