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정부, 미얀마 난민 이주명령
타이 정부가 미얀마(옛 버마) 출신 난민들에게 국경지대 난민촌으로 이주하지 않으면 강제추방하겠다고 밝혀 논란이 일고 있다고 영국 <가디언>이 23일 보도했다. 신문은 “타이 정부는 최근 방콕 등 자국내 대도시에 거주하고 있는 3천여명에 이르는 버마 난민들에게 오는 31일까지 등록을 마친 뒤 국경지대에 설치된 난민캠프로 이주하도록 명했으며, 이에 응하지 않으면 국외로 강제 추방시키겠다고 밝혔다”고 전했다. 타이 정부는 난민들에게 보낸 서한에서 “이주 명령을 따르지 않으면 앞으로 제3국 정착도 허용되지 않을 것이며, 어떤 형태의 지원도 받지 못하게 될 것”이라며 “시한을 넘기면, 불법이민자로 분류돼 체포·구금된 뒤 강제 추방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현재 타이-버마 국경지대에서 유엔난민기구(UNHCR) 등이 운영하는 난민촌에는 약 14만명의 버마 출신 난민들이 살고 있으며, 이 가운데 누포·반돈양·탐힌 등 3개 난민촌이 이번 조처에 따라 이주하게 될 난민들을 수용할 예정이다. <가디언>은 유엔난민기구 관계자의 말을 따 “이주 준비기간이 지나치게 짧은데다, 이미 포화상태인 난민촌은 3천여명이 한꺼번에 이주해 생활할 공간도 없는 형편”이라고 전했다. 군사독재 정권의 탄압과 극심한 경제난을 피해 타이 등 주변국으로 빠져나오는 버마인들은 1980년대 이후 꾸준한 증가세를 보여왔다. 정인환 기자 inhwan@hani.co.kr
섬유협정만효 캄보디아 실직‘해일’
전세계 의류산업이 중국과의 경쟁에서 밀리면서 캄보디아 등 빈곤국의 의류업계 노동자들이 해고 해일에 떠밀리고 있다. 특히, 미국이 자국 시장으로 수입되는 의류에 대해 나라별 쿼터를 할당해주던 다자섬유협정(MFA)이 올해 1월1일 만료되면서 의류산업에서 일하던 캄보디아의 수많은 여성 노동자들이 길거리로 내몰리고 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미국과 유럽 의류업체에 납품하는 한국 ㅅ섬유회사의 캄보디아 현지 공장에서 일했던 여성 노동자 소이 팔라는 최근 회사가 갑자기 공장을 폐쇄하면서 일자리를 잃은 뒤 생계가 막막해졌다. ㅅ사는 공장 문을 닫으면서 캄보디아의 열악한 노동법을 이용해 팔라를 비롯한 노동자들에게 퇴직 수당을 지급하지 않았으며, 경찰은 사흘 동안 공장 앞에서 항의시위를 벌이던 노동자들을 해산시켰다. 인구의 3분의 1이 하루 1달러 미만의 돈으로 생활하는 캄보디아에서 의류산업은 지난해 대다수가 여성인 노동자 26만1천명을 고용했고, 11억달러어치 이상을 수출해 이 나라를 먹여 살렸다. 참 프라시드 캄보디아 상무장관은 올해 섬유업계에서 전체 노동력의 10%에 해당하는 2만6천명이 일자리를 잃었다고 밝혔으며, 유엔은 1월 한달만에 프놈펜 인근의 200개 공장 가운데 20개가 문을 닫은 것으로 추산하고 실직한 노동자들이 성매매 산업으로 옮겨가거나 인신매매의 희생자가 될 것을 우려하고 있다. 박민희 기자 minggu@hani.co.kr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