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3.25 09:29 수정 : 2005.03.25 09:29

일본 주요 신문들은 25일 노무현 대통령의 대일비판 담화를 사설로 다뤘으나 논조는 평소 성향에 따라 엇갈렸다.

아사히와 마이니치신문은 표현에 일부 거친 부분이 있지만 담화가 나오게 된 배경에도 눈을 돌려야 한다며 일정한 이해를 표시한 반면 요미우리와 산케이신문은 내정간섭, 선동 등의 어휘를 구사하면서 비판으로 일관했다.

아사히는 노무현 대통령이 담화에서 "외교전쟁도 있을 수 있다" "지구전이다"등 격렬한 표현을 사용한 것은 이례적이라고 지적하고 그렇다고 해도 노대통령이 이렇게까지 표현하게된 배경을 생각할 때 일본 정부가 사태를 경시한 측면도 있다고말했다.

예컨대 문부과학성 정무관이 교과서 검정과 관련, 근린제국을 배려하도록 한 조항을 부정하는 듯한 발언을 했을 때도 고이즈미 총리는 이 조항의 중요성을설명해 한국을 안심시키려는 노력을 하지 않고 `다케시마(독도의 일본식 이름)의 날'조례제정을 놓고 양국관계가 뒤틀리고 있는데도 방관자 노릇만했다고 지적했다.

사설은 쌓이고 쌓인 불신감이 과격한 표현으로 나타났다고 봐야 한다면서 고이즈미 총리는 과거를 어떻게 생각하고 미래를 어떻게 그리고 있는지에 대해 한국에정중한 메시지를 보내야 한다고 강조하고 양국 정상은 민간교류가 전에 없이 활발해지고 있는데 비해 정치대화 통로가 막힌 사실은 무겁게 받아들여야 한다고 촉구했다.

마이니치 신문은 노대통령이 시마네현의 조례제정에 대해 "일부 지방자치단체와경박한 국수주의자의 행위에 그치지 않고 중앙정부의 방조하에 이뤄진 일본정부의행위로 볼 수 밖에 없다"고 단정한 것은 사실관계를 오해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마이니치는 노대통령은 임기중 역사문제를 제기하지 않겠다고 약속했지만 일본의 일부 각료가 역사교과서에 관한 부적절한 발언이 나와 배신당했다는 기분이 들었을 것이라면서도 어렵게 마련된 셔틀정상교류가 중단돼서는 안된다고 지적, 한국은냉정한 대일외교를, 고이즈미 총리는 독도와 역사인식, 교과서 문제에 대해 현상을타개하기 위한 지도력을 발휘하라고 촉구했다.

요미우리는 노대통령의 담화는 일국의 원수의 발언으로는 너무 난폭하다면서 중학교 역사교과서에 대해 "왜곡된 교과서가 되살아나려 하고 있으며 이는 침략의 역사를 정당화하는 행위"라고 단정한 것은 일본의 국가주권에 속하는 검정발표를 앞두고 외국 원수가 압력을 가한 내정간섭이라고 주장했다.


신문은 대통령의 강경한 자세로 양국 정부간 대화가 이뤄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면서 노대통령의 재고를 촉구했다.

산케이 신문은 노대통령의 담화는 미해지향적 한ㆍ일관계를 파괴하는 것이라며대통령은 반일시위를 부추길 것이 아니라 중단시켜야 할 입장이라면서 냉정한 외교로 돌아가라고 요구했다.

(도쿄/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