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권 자민당의 해양권익특별위원회도 지난 25일 “동중국해 중간선의 일본쪽 수역에 시굴권을 설정해 자원을 캐내는 것은 법적으로 문제가 없으며 우리 나라 자원을 지키기 위한 당연한 조치”라는 내용의 긴급제언을 채택했다. 중국과 일본에 면해 있는 동중국해 수역은 폭이 400해리에 못미쳐 자국 연안에서 200해리까지 설정할 수 있는 배타적경제수역(EEZ)이 겹쳐있으나 중국이 춘샤오(春曉) 가스전 등 일대에서 독자개발에 나서면서 양측간 갈등이 불거졌다. 일본측은 수역의 정 중앙지점에 중간선을 그어 경계로 삼아야 한다는 입장에서 춘샤오 가스전의 광맥이 일본측 수역까지 뻗어있을 가능성이 큰 만큼 독자 개발을 중단하고 관련 정보를 제공하라고 요청해왔다. 반면 중국측은 대륙붕이 일본 최남단 오키나와(沖繩)섬 서쪽 해구까지 이어진 만큼 오키나와 앞바다까지가 자국의 EEZ라고 맞서왔다. 신문은 일본 정부가 시굴권 설정에 나설 경우 다음달로 예정된 마치무라 노부타카(町村信孝) 일본 외상의 중국방문도 차질을 빚을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한편 요미우리(讀賣)신문은 일본 정부가 오는 6월 오키나와섬에 해상관측용 레이더를 설치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이 레이더는 섬을 침식하는 파도 조사가 주목적이나 반경 20㎞의 일본영해를 오가는 선박의 동향도 파악할 수 있어 중국 해양조사선 등의 접근을 견제하려는 목적도 있는 것으로 관측된다 (도쿄=연합뉴스)
|
일, 동중국해에 ‘가스 시굴권’ 설정하기로 |
일본 정부가 중국이 독자적으로 가스전개발을 진행중인 동중국해 ’일본쪽 수역’에 시굴권을 설정할 방침이라고 마이니치(每日)신문이 27일 보도했다.
일본 정부는 오는 28일 도쿄에서 열리는 양측 외교부 국장급 협의에서 중국측에 동중국해 가스전에 관한 정보제공과 독자개발 중단을 거듭 요청한 뒤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시굴권 설정 방침을 정식 통보하기로 했다.
중국 정부는 동중국해의 ’일본쪽 수역’을 인정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일본이 시굴권 설정에 나설 경우 강력히 반발할 것으로 예상된다.
일본 정부는 민간자원개발기업이 경제산업성에 시굴권을 신청하면 허가하는 형태로 시굴권 설정에 나설 것으로 전해졌다.
집권 자민당의 해양권익특별위원회도 지난 25일 “동중국해 중간선의 일본쪽 수역에 시굴권을 설정해 자원을 캐내는 것은 법적으로 문제가 없으며 우리 나라 자원을 지키기 위한 당연한 조치”라는 내용의 긴급제언을 채택했다. 중국과 일본에 면해 있는 동중국해 수역은 폭이 400해리에 못미쳐 자국 연안에서 200해리까지 설정할 수 있는 배타적경제수역(EEZ)이 겹쳐있으나 중국이 춘샤오(春曉) 가스전 등 일대에서 독자개발에 나서면서 양측간 갈등이 불거졌다. 일본측은 수역의 정 중앙지점에 중간선을 그어 경계로 삼아야 한다는 입장에서 춘샤오 가스전의 광맥이 일본측 수역까지 뻗어있을 가능성이 큰 만큼 독자 개발을 중단하고 관련 정보를 제공하라고 요청해왔다. 반면 중국측은 대륙붕이 일본 최남단 오키나와(沖繩)섬 서쪽 해구까지 이어진 만큼 오키나와 앞바다까지가 자국의 EEZ라고 맞서왔다. 신문은 일본 정부가 시굴권 설정에 나설 경우 다음달로 예정된 마치무라 노부타카(町村信孝) 일본 외상의 중국방문도 차질을 빚을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한편 요미우리(讀賣)신문은 일본 정부가 오는 6월 오키나와섬에 해상관측용 레이더를 설치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이 레이더는 섬을 침식하는 파도 조사가 주목적이나 반경 20㎞의 일본영해를 오가는 선박의 동향도 파악할 수 있어 중국 해양조사선 등의 접근을 견제하려는 목적도 있는 것으로 관측된다 (도쿄=연합뉴스)
집권 자민당의 해양권익특별위원회도 지난 25일 “동중국해 중간선의 일본쪽 수역에 시굴권을 설정해 자원을 캐내는 것은 법적으로 문제가 없으며 우리 나라 자원을 지키기 위한 당연한 조치”라는 내용의 긴급제언을 채택했다. 중국과 일본에 면해 있는 동중국해 수역은 폭이 400해리에 못미쳐 자국 연안에서 200해리까지 설정할 수 있는 배타적경제수역(EEZ)이 겹쳐있으나 중국이 춘샤오(春曉) 가스전 등 일대에서 독자개발에 나서면서 양측간 갈등이 불거졌다. 일본측은 수역의 정 중앙지점에 중간선을 그어 경계로 삼아야 한다는 입장에서 춘샤오 가스전의 광맥이 일본측 수역까지 뻗어있을 가능성이 큰 만큼 독자 개발을 중단하고 관련 정보를 제공하라고 요청해왔다. 반면 중국측은 대륙붕이 일본 최남단 오키나와(沖繩)섬 서쪽 해구까지 이어진 만큼 오키나와 앞바다까지가 자국의 EEZ라고 맞서왔다. 신문은 일본 정부가 시굴권 설정에 나설 경우 다음달로 예정된 마치무라 노부타카(町村信孝) 일본 외상의 중국방문도 차질을 빚을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한편 요미우리(讀賣)신문은 일본 정부가 오는 6월 오키나와섬에 해상관측용 레이더를 설치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이 레이더는 섬을 침식하는 파도 조사가 주목적이나 반경 20㎞의 일본영해를 오가는 선박의 동향도 파악할 수 있어 중국 해양조사선 등의 접근을 견제하려는 목적도 있는 것으로 관측된다 (도쿄=연합뉴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