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카미야 주간은 1982년 일본 역사교과서 왜곡 파문 당시 한국에 유학했던 지한 논객으로 권오기 전 통일부 장관과의 대담집 <한국과 일본국>을 출간한 바 있다. 칼럼에서 와카야마 주간은 “독도를 한국과 일본이 공동관리하면 좋겠지만 한국이 응하지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며 “그렇다면 아예 양보해버리면 어떨까 몽상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대신 한국은 이 영단을 높게 사 독도를 ‘우정의 섬’으로 부른다. 주변의 어업권을 앞으로 일본에 인정한다고 약속하고 다른 영토 문제에서는 일본을 전면 지원한다. 자유무역협정(FTA) 협상도 한번에 해결해 양국 협력에 탄력을 가한다”라고 그는 제안했다. 와카야마 주간은 “독도를 포기한다고 하면 ‘국적’이라는 비판을 받을 게 눈에 선하지만 아무리 위세가 좋아도 전쟁이 가능한 것도 아니고 독도를 되돌려받을 전망도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독도는) 원래 어업 외에는 가치가 별로 없는 무인도”라며 “원주민이 반환을 간절히 바라는 ‘북방 4개섬’이나 전략가치가 큰 센카쿠열도와는 다르다”라고 덧붙였다. 와카야마 주간은 “드디어 ‘(한·일) 병합 100년’이 다가온다. 이 시점에서 도량을 보여 잃음으로써 얻는 책략은 없는 것인가”라며 “아니다, 아니다. (일본은) 그런 묘수가 가능한 나라가 아니므로 이는 몽상에 지나지 않는다”라고 맺었다. 도쿄/연합
일 주미공사 “독도는 일본땅” WP 기고
한국대사관도 맞불 놓기로 다카노 도시유키 주한 일본 대사의 ‘독도 망언’에 이어 워싱턴 주재 일본대사관의 아가와 나오유키 공보 공사가 25일 <워싱턴 포스트> 기고문을 통해 “독도는 일본 영토”라고 주장해 주미 한국대사관도 긴급 대응에 나서기로 했다. 주미 일본 대사관 내 서열 3위인 아가와 공사는 <워싱턴 포스트>가 지난 17일치 독도 관련 기사에서 동해와 일본해, 독도와 다케시마란 명칭을 함께 적은 지도를 실은 것과 관련해 “바다 이름은 일본해가 맞으며, 독도도 일본의 한 부분인 만큼 다케시마라고 불러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일본은 (독도 분쟁이 있는) 그 바다를 지난 19세기 초 이후 전세계 공동체가 널리 사용하는 이름인 ‘일본해’로 부르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믿는다”고 말했다. 그는 “한국은 일본해라는 이름이 식민 과거에 따라 보편적으로 사용됐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일본해는 20세기 식민화가 이뤄지기 오래전에 상용됐다”며 “따라서 그 이름을 동해로 바꾸려는 한국의 노력은 아무런 소용이 없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또 “지난해 3월 유엔은 일본해가 표준 용어임을 확인했으며, 병기는 일본해로만 표기하는 많은 관례들을 깨뜨리는 것이며 유엔의 중립성을 훼손하는 것이라고 선언했다”고 억지 주장을 폈다. 오수동 주미 대사관 공보 공사는 아가와 공사의 유엔 관련 주장에 대해 “지난해 일본 정부가 유엔의 한 사무실에 편지를 보내 자신들에게 호의적인 답변을 얻어낸 것으로 알고 있다”며 “유엔이 분쟁지역 명칭은 병기할 것을 권장하고 있는데, 유엔 전체 의사도 아닌 한 사무실에서 얻은 편지로 그런 주장을 하는 것은 억지”라고 지적했다. 오 공사는 이어 “독도 영유권 분쟁과 명칭 논란은 일본이 과거 역사에 대한 반성 없이 왜곡된 역사 인식을 갖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며 “아가와 공사의 억지 주장에 대해 적극 대처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정부 관계자는 홍석현 주미대사가 28일 이 신문 편집국장을 만나 독도와 동해에 대한 우리 정부 입장을 설명하고 주미대사관 공보공사 명의의 반박 기고문을 싣도록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워싱턴/연합
국제표기·명칭 전담대사 신설 하찬호 주유엔 공사 내정 정부가 ‘국제표기·명칭전담대사’를 신설키로 했으며, 주유엔 한국대표부의 하찬호 공사가 ‘국제표기·명칭 대사’로 거론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는 27일 이규형 외교통상부 대변인 명의의 보도 참고자료를 통해 “국제표기·명칭 대사는 외교부 장관의 지휘 아래 국제기구, 각국의 지도와 역사교과서 등에 나타난 우리나라 관련 지명과 명칭은 물론 역사적 표기에 관한 오류와 인식을 바로잡는 임무를 전담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국제표기·명칭 대사’는 관련 전문가 및 각 부처에서 파견된 공무원들로 구성된 독자적인 조직을 운영하게 되며, 이는 앞으로 범정부 차원에서 설치될 한-일 협정 등의 역사문제·독도 관련 상설 대책기구의 틀 안에서 운영될 예정이다. 외교부는 현재 대사 임명을 위한 인선절차가 진행 중에 있으며, 절차가 완료되는 대로 별도의 발표가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강태호 기자 kankan1@hani.co.kr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