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패밀리사이트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회원가입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7.07.28 19:33 수정 : 2007.07.28 20:36

백종천 청와대 안보실장(가운데)이 26일 오전 아프가니스탄 인질 살해 사건에 대한 성명을 발표한 뒤 기자들의 질문을 받으며 춘추관을 나서고 있다. 청와대 사진기자단

“납치세력의 기대감만 높일 수 있다”


"미묘한 시점에 무장 납치세력의 기대감만 높일 수 있다."

노무현 대통령 특사로 아프가니스탄에 급파된 백종천 청와대 통일외교안보실장의 활동이 관심을 모으고 있지만 정부가 백 특사의 구체적 활동과 내용에 대해 극도로 말을 아끼고 있다.

피랍 한국인 22명이 여전히 무장세력에 의해 억류돼 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가 '특단의 대책'을 마련하고 있는 상황에서 무장세력에 자칫 잘못된 메시지를 전달할 수도 있다는 점을 감안한 것이다.

정부 당국자는 28일 백 특사의 활동을 묻는 질문에 "무장단체 측도 관심이 크기 때문에 구체적 활동에 대해서는 언급하는게 적절치 않다고 생각한다"면서 "(백 특사가) 현재 아프간 당국과 접촉하면서 관련 대책을 협의 중"이라고만 전했다.

비슷한 맥락에서 백 특사가 아프간 정부나 납치세력들에게 직간접적으로 제시할 '카드'의 내용을 둘러싼 일부 언론의 추측성 보도가 외교가에서 논란이 일고 있다.

마치 시나리오를 전개하듯 추측성 내용을 전달하는 것이 과연 사태 해결에 도움이 되느냐는 것이다.

한 외교소식통은 "탈레반에 헛된 기대감을 갖게 만들거나 우리 협상 카드를 노출시키는 것은 결과적으로 '이적행위'를 하는 셈"이라면서 "이런 상황에서는 가급적 냉정하면서도 사실에 근거한 내용전달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물론 정부 당국자들은 백 실장의 아프간 파견에 큰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이례적으로 '대통령 특사'를 현지에 보낸 것 자체가 억류된 우리 국민 22명의 조기 석방에 대한 `강력한 의지'를 보여주는 것으로, 사태 해결에 적지않은 영향을 미칠 것이란 기대 때문이다.

이와 함께 백 특사가 아프간 정부의 고위인사들과 만난 자리에서 탈레반측의 애초 요구사항이었던 한국군의 철군 문제나 경제협력 방안 등의 다양한 협상카드를 제시할 것이라는 점도 충분히 예측할 수 있다.

연말까지 철군한다는 방침을 세웠던 우리 정부의 입장은 이미 이번 사태 이후 여러차례 재확인된 바 있다.

또 열흘째를 맞는 피랍 한국인 석방교섭의 최대 난제로 부각되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 `인질-탈레반 죄수 맞교환'과 관련해서도 우리 정부의 메시지가 전달될 것으로 여러 경로에서 관측돼왔다.

이 과정에서 `미국을 설득하는 것이 최대 과제'라는 분석에서부터 아프간 정부에 공적개발원조(ODA) 형태로 추가 경제 지원이라는 인센티브가 제공될 것이라는 견해도 있다.

정부는 2002년 탈레반 정권 붕괴 이후 아프가니스탄과 외교관계를 회복하면서 현지 재건을 위해 다산.동의부대를 보내는 한편, 2002년 도쿄 국제회의(4천500만달러 지원계획 표명), 2006년 런던 국제회의(유.무상 각 1천만달러 지원의사 표명) 등을 계기로 아프간에 대한 지원의사를 밝히고 재건을 지원해왔다.

하지만 이런 내용을 마치 현장 중계하듯 구체적으로 전하는 데 대해서는 정부 당국자들은 물론 외교전문가들도 고개를 가로젓고 있다. 무엇보다 탈레반 세력이 이런 보도들을 보고 자칫 요구수준을 높일 경우 협상만 어려워질 것이라는 우려 때문이다.

실제로 피랍자들을 억류하고 있는 납치세력은 백 특사의 현지 도착 이후 한때 협상에 적극 나서지 않고 사태추이를 관망하는 듯한 자세를 보인 것으로 알려졌으며 그 배경을 놓고 `몸값'을 올리려는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이와 관련, 탈레반 대변인을 자처하는 카리 유수프 아마디는 이날 연합뉴스와 간접 인터뷰에서 백 특사의 아프간 파견을 환영하면서 "문제 해결을 위한 어떤 협상도 우린 준비가 돼 있고 환영하지만 아프간 정부가 우리의 요구(죄수교환)를 받아들이지 않으려고 해 협상이 풀리지 않고 있다"며 은연중 한국측에 아프간 정부에 압력을 넣어줄 것을 요구했다.

납치세력이 이처럼 나름의 심리전을 맹렬하게 펴고 있는 상황에서 정부는 백 특사의 구체적 활동에 대해서는 '확인불가'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다만 천호선 청와대 대변인이 밝힌 대로 "정부가 최고 수준의 수단을 사용한 것"이라는 강력한 의지를 강조하면서 가장 중요한 `조속한 피랍자 석방'에 주력할 방침이다.

임화섭 기자 solatido@yna.co.kr (서울=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