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과 중국은 고이즈미 준이치로 총리의 야스쿠니 신사 참배, 센카쿠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 영유권 등을 둘러싸고 마찰을 빚고 있고, 최근 중국에서는 일본의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 진출 반대 서명운동이 벌어지는 등 반일감정이 높아지고 있다. 도쿄/연합
|
중-일 ‘동중국해 자원분쟁’ 격화 |
일 “가스전 맞개발”
중국이 개발해온 동중국해 가스전이 일본 쪽에까지 이어진 것으로 밝혀져 이 일대 자원 개발을 둘러싼 양국 마찰이 한층 격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나카가와 쇼이치 일본 경제산업상은 1일 자원조사 결과 중국이 동중국해에서 개발하고 있는 가스전 2개의 구조가 일본 쪽에 뻗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중국에 조사 결과를 통보한 뒤 민간업자에게 시굴권을 주는 등 광구 설정 절차를 밟을 방침이라고 밝혔다.
일본은 자국 영해 안의 자원이 빨려갈 우려가 있다며 해당 해역 일대에 대한 부존자원 관련 자료 제공과 개발 중단을 요청했으나 중국은 이에 응하지 않고 있다.
나카가와 장관은 “중국이 성의있는 회신을 보내오지 않으면 다음 단계를 추진하겠다”면서 외교 경로를 통해 중국에 조사 결과를 통보한 뒤 “1주일 정도 기다렸다 광구를 설정하는 방안을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일본의 대표적 자원개발업체인 석유자원개발과 데이코쿠석유는 동중국해에서 석유와 천연가스를 개발하기로 하고 개발신청서 제출을 정부와 협의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이 동중국해에서 시굴에 착수하면 중국이 강력히 반발할 것이 확실해 마찰이 한층 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중국은 이르면 오는 8월께부터 춘샤오 가스전 등의 생산을 시작할 것으로 전해졌다. 일본은 중국이 자료 제공과 개발 중지 요청을 무시하고 춘샤오 등 이 일대 가스전에 대한 개발을 계속하자 지난해 7월부터 조사선을 투입해 자원조사를 벌여 왔다.
중국과 일본에 면해 있는 동중국해 수역은 폭이 400해리에 못미쳐 자국 연안에서 200해리까지 설정할 수 있는 배타적 경제수역(EEZ) 설정을 놓고도 갈등을 빚고 있다. 일본은 “양국 해안선에서 같은 거리에 있는 중간선”을 경계로 삼자고 하지만, 중국은 자국 대륙붕이 오키나와 해구까지 뻗쳐 있다며 일본의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고 있다.
일본과 중국은 고이즈미 준이치로 총리의 야스쿠니 신사 참배, 센카쿠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 영유권 등을 둘러싸고 마찰을 빚고 있고, 최근 중국에서는 일본의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 진출 반대 서명운동이 벌어지는 등 반일감정이 높아지고 있다. 도쿄/연합
일본과 중국은 고이즈미 준이치로 총리의 야스쿠니 신사 참배, 센카쿠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 영유권 등을 둘러싸고 마찰을 빚고 있고, 최근 중국에서는 일본의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 진출 반대 서명운동이 벌어지는 등 반일감정이 높아지고 있다. 도쿄/연합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