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설명] 일본 문부성은 일본의 군국주의 과거를 백지화했다고 비판론자들이 비판을 가하고있는 중학교 역사교과서 개정을 5일 승인함으로써 이미 긴장관계인 한국,중국과의 관계를 더욱 긴장시키고 있다. 사진은 일본의 극우주의 학자들이 저술해 논란을 빚고있는 일본 중등학교 역사교과서들(로이터=연합뉴스) 중국 외교부는 5일 일본 역사 교과서 왜곡 사태와 관련, 아나미 고레시게(阿南惟茂) 주중 일본 대사를 외교부로 불러 `극도의 분노'를 표시했다고 국영 TV가 보도했다. 국영 TV는 "중국 정부는 일본이 중국의 반복된 (반대) 의사 표시에도 불구, 역사를 왜곡한 교과서를 채택한 데 극도의 분노를 나타냈다"고 전했다. 친강 외교부 대변인도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문제의 핵심은 일본이 자국역사의 군국주의와 침략을 제대로 볼 수 있느냐 하는 것"이라며 역사를 직시할 것을촉구했다. 중국 외교부의 한 관계자는 "일본 교과서 문제의 본질은 일본이 제국주의 침략역사에 대응해 차세대 젊은이들을 올바른 역사관으로 교육할 수 있느냐 하는 것"이라며 "(새 일본 역사) 교과서는 일본 젊은이들에게 있어 독"이라고 비난했다. 아나미 대사는 이에 중국의 애국주의 교육이 젊은이의 반일 정서를 야기했다고 지적하며 중국이 이런 점을 주목해줄 것을 촉구했다고 주중 일본 대사관이 성명에서 밝혔다. 그는 또 일본은 사상과 출판의 자유가 허용되는 나라이며 교과서는 특정 조건만충족하면 출판이 허용되며, 일본의 역사관은 과거 침략 전쟁에 대해 `마음으로부터사과'를 천명한 1995년 무라야마 도미이치(村山富市) 전 총리 담화에서 변하지 않았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성명은 말했다.
한편 왕이 일본 주재 중국 대사는 이날 일 외무성으로 야치 쇼타로(谷內正太郞) 사무차관을 방문, "후소샤판 교과서는 역사를 뜯어고친 것으로 중국을 포함한 아시아 국민의 감정에 상처를 내는 것"이라고 항의했다. (베이징 AFPㆍ교도=연합뉴스)
일, “예상했던 반발”…느긋한 대처
일본 정부는 중학교 교과서 검정결과에 대한 한국과 중국의 강력한 반발에도 불구, 예상했던 일이라며 별다른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 있다. 다만 양국의 반일감정이 더이상 악화되지 않도록 이미 예정돼 있는 한ㆍ일 및중ㆍ일 외무장관 회담에서 `냉정한 대처'를 요청한다는 원칙적인 입장만을 되풀이하고 있다. 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一郞) 일본 총리는 5일 "(독도문제에 대해서는) 한국과 일본의 입장이 다르다"고 지적하고 "입장이 다르다고 해서 다른 측면으로 대립을확대하는 것은 좋지 않다"며 냉정한 대처를 주문했다. 정부대변인인 호소다 히로유키(細田博之) 관방장관도 기자회견에서 교과서 검정문제에 대해서는 "외무성이 중심이 돼 대처할 것"이라고 말해 일본 정부 차원의 별도 대책은 검토하지 않고 있음을 내비쳤다. 일본 정부의 이런 `느긋한' 대처는 내놓을 카드가 마땅치 않다는 현실적 어려움외에 양국의 반발을 일과성으로 보고 제풀에 지치기를 기다리면 된다는 계산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호소다 관방장관은 시마네현의회가 `다케시마(독도의 일본식 이름)의 날'조례제정을 추진하면서 독도문제가 정치문제로 비화된 2월 이래 여러 차례에 걸친 라종일 주일대사의 면담요청을 거절한 것으로 전해졌다. 호소다 장관은 시마네현 출신으로 지방의회에 어느 정도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을 것이라는게 주위의 일반적 평가다. 마치무라 노부다카(町村信孝) 외상은 독도문제로 한국의 반일감정이 고조되자시마네현 출신 유력 정치인인 아오키 미키오(靑木幹雄) 자민당 참의원 의원회장과호소다 장관에게 시마네현 의회가 조례안을 철회하도록 영향력을 행사해 줄 것을 요청했으나 거절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 외무성 고위간부도 교과서 검정결과에 대한 한국 및 중국의 반발에 대해 "예상범위내"라고 말해 별도의 대책은 생각하지 않고 있음을 내비쳤다. 일본 정부는 다만 7일로 예정된 반기문 외교통상부 장관과 마치무라 외상간 외무장관회담에서 역사문제 공동연구 계속 등을 제안하고 양국 정상회담 등 외교일정은 예정대로 추진하자는 입장을 전할 것으로 알려졌다. 마치무라 외상은 또 17일로 예정된 중국 방문때 리자오싱 외교부장 등중국정부 요인과의 면담에서도 일본의 교과서 검정제도 등을 설명하고 이해를 구한다는 계획이지만 독도 영유권을 비롯한 교과서 기술이 사실상 일본 정부 주도로 이뤄진 사실이 확실히 드러난 상태여서 양국이 납득할 가능성은 높지 않다. (도쿄/연합뉴스)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