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부의 이런 행보는 과거에도 발견할 수 있다. 일본 문부성이 한국과 중국등의 항의에도 불구, 왜곡된 역사교과서 8종을 큰 수정 없이 통과시킨 2001년 4월,이른바 제3차 역사교과서 파동 당시, 한국은 김대중 대통령이 공개적으로 불만을 표시하고 주일대사를 소환하는 강수를 뒀다. 이에 반해 종군위안부외에도 난징대학살, 중국 동북지방에서의 생체실험등의 상처를 갖고 있는 중국은 `침략역사를 부인하고 미화하는 내용이 담긴 교과서 출간은 안된다'는 입장을 밝히면서도 여러 채널을 통해 일 정부에 항의의 뜻을 전달하는데 그쳤다. 물론 가끔 중국 정부가 `강력한 표현'을 동원한 적도 있지만 그 이면에는 대만문제 등 다른 사안이 겹칠 경우가 많았다. 이처럼 신중에 신중을 거듭하는 중국 정부의 태도를 놓고 전문가들은 `다분히전략적인 행보'라고 분석하고 있다. 구(舊) 소련의 붕괴 이후 동북아 세력균형이 급변하는 상황에서 미국과 일본을 축으로 한 주류세력과의 마찰이 과연 중국에 얼마나 도움이 되느냐를 면밀히 따져보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동북아 해상세력의 분포로 볼 때 중국의 국방력이 일본에 미치지 못하는것이 엄연한 상황에서 대만문제의 해결을 제1과제로 설정한 중국이 다른 현안에서는신중한 태도를 견지할 수 밖에 없을 것이라는 시각이 많다. 그러면서도 민간에서의 격력한 반일 활동은 의외로 방치하고 있는 것은 `민중의메시지'를 통해 경고를 주고 싶은 속내가 반영된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실제로 중국 일부 지역에서 벌어지고 있는 일본 상품 불매운동이나 일본의 유엔상임이사국 진출 저지를 위한 네티즌들의 서명운동, 야스쿠니 신사 웹사이트 공격운동 등은 일반인들의 열띤 참여속에 중국 전역으로 번져가고 있다. (상하이/연합뉴스)
|
중국 ‘신중한’ 반응…배경은? |
"한국 정부의 과감한 대응이 매우 인상적입니다." 일본 후소샤판 역사교과서 왜곡 파문으로 동북아의 `외교전쟁'이 진행되는 상황과 관련, 6일 상하이의 한 대학강사는 일본의 역사왜곡에 대응하는 중국 정부의 태도를 한국정부의 그것과 슬쩍 비교했다.
실제로 문제의 역사교과서의 검정 결과가 나온 5일 중국 정부의 대응은 상대적으로 매우 신중했다.
친강 외교부 대변인은 정례브리핑에서 일본의 역사교과서 검정 결과를 검토한 후 중국 정부의 공식 입장이 나올 것이라고 유보적 입장을밝혔다.
물론 그후 중국 외교부가 아나미 고레시게(阿南惟茂) 주중 일본 대사를 외교부로 불러 `극도의 분노'를 표시했다는 보도가 있었다.
하지만 이는 들끓고 있는 민간에서의 반일여론의 강도를 생각하면 `최소한의 조치'에 해당된다는게 중국 현지의 시각이다.
국정 최고책임자인 한국대통령과 중국 국가주석의 행보를 연상하면 상징적으로 양국 정부의 대응방식의 차이를 알 수 있다.
게다가 외교부의 공식 항의가 전해진 시각, 중국 정부 일각에서는 경제문제와역사왜곡 문제는 별개의 사안이라면서 중ㆍ일 경협 강화를 주장하고 나섰다.
우이 중국 부총리는 5일 하시모토 류타로(橋本龍太郞) 전 일본 총리와 만나 중ㆍ일관계가 조속히 개선되기를 바란다는 희망을 피력했다고 현지 언론이 전했다.
중국 정부의 이런 행보는 과거에도 발견할 수 있다. 일본 문부성이 한국과 중국등의 항의에도 불구, 왜곡된 역사교과서 8종을 큰 수정 없이 통과시킨 2001년 4월,이른바 제3차 역사교과서 파동 당시, 한국은 김대중 대통령이 공개적으로 불만을 표시하고 주일대사를 소환하는 강수를 뒀다. 이에 반해 종군위안부외에도 난징대학살, 중국 동북지방에서의 생체실험등의 상처를 갖고 있는 중국은 `침략역사를 부인하고 미화하는 내용이 담긴 교과서 출간은 안된다'는 입장을 밝히면서도 여러 채널을 통해 일 정부에 항의의 뜻을 전달하는데 그쳤다. 물론 가끔 중국 정부가 `강력한 표현'을 동원한 적도 있지만 그 이면에는 대만문제 등 다른 사안이 겹칠 경우가 많았다. 이처럼 신중에 신중을 거듭하는 중국 정부의 태도를 놓고 전문가들은 `다분히전략적인 행보'라고 분석하고 있다. 구(舊) 소련의 붕괴 이후 동북아 세력균형이 급변하는 상황에서 미국과 일본을 축으로 한 주류세력과의 마찰이 과연 중국에 얼마나 도움이 되느냐를 면밀히 따져보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동북아 해상세력의 분포로 볼 때 중국의 국방력이 일본에 미치지 못하는것이 엄연한 상황에서 대만문제의 해결을 제1과제로 설정한 중국이 다른 현안에서는신중한 태도를 견지할 수 밖에 없을 것이라는 시각이 많다. 그러면서도 민간에서의 격력한 반일 활동은 의외로 방치하고 있는 것은 `민중의메시지'를 통해 경고를 주고 싶은 속내가 반영된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실제로 중국 일부 지역에서 벌어지고 있는 일본 상품 불매운동이나 일본의 유엔상임이사국 진출 저지를 위한 네티즌들의 서명운동, 야스쿠니 신사 웹사이트 공격운동 등은 일반인들의 열띤 참여속에 중국 전역으로 번져가고 있다. (상하이/연합뉴스)
중국 정부의 이런 행보는 과거에도 발견할 수 있다. 일본 문부성이 한국과 중국등의 항의에도 불구, 왜곡된 역사교과서 8종을 큰 수정 없이 통과시킨 2001년 4월,이른바 제3차 역사교과서 파동 당시, 한국은 김대중 대통령이 공개적으로 불만을 표시하고 주일대사를 소환하는 강수를 뒀다. 이에 반해 종군위안부외에도 난징대학살, 중국 동북지방에서의 생체실험등의 상처를 갖고 있는 중국은 `침략역사를 부인하고 미화하는 내용이 담긴 교과서 출간은 안된다'는 입장을 밝히면서도 여러 채널을 통해 일 정부에 항의의 뜻을 전달하는데 그쳤다. 물론 가끔 중국 정부가 `강력한 표현'을 동원한 적도 있지만 그 이면에는 대만문제 등 다른 사안이 겹칠 경우가 많았다. 이처럼 신중에 신중을 거듭하는 중국 정부의 태도를 놓고 전문가들은 `다분히전략적인 행보'라고 분석하고 있다. 구(舊) 소련의 붕괴 이후 동북아 세력균형이 급변하는 상황에서 미국과 일본을 축으로 한 주류세력과의 마찰이 과연 중국에 얼마나 도움이 되느냐를 면밀히 따져보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동북아 해상세력의 분포로 볼 때 중국의 국방력이 일본에 미치지 못하는것이 엄연한 상황에서 대만문제의 해결을 제1과제로 설정한 중국이 다른 현안에서는신중한 태도를 견지할 수 밖에 없을 것이라는 시각이 많다. 그러면서도 민간에서의 격력한 반일 활동은 의외로 방치하고 있는 것은 `민중의메시지'를 통해 경고를 주고 싶은 속내가 반영된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실제로 중국 일부 지역에서 벌어지고 있는 일본 상품 불매운동이나 일본의 유엔상임이사국 진출 저지를 위한 네티즌들의 서명운동, 야스쿠니 신사 웹사이트 공격운동 등은 일반인들의 열띤 참여속에 중국 전역으로 번져가고 있다. (상하이/연합뉴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