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4.06 11:52 수정 : 2005.04.06 11:52

아시안 월스리스트 저널 등 세계 주요 언론매체들은 일본 문부과학성의 역사교과서 검정 결과 발표 및 이에 대한 한국과 중국의 분노를 관심있게 보도했다.

아시안 월스트리트 저널은 6일 '일본 교과서 전시 희생자들의 분노 자아내다'란제하의 기사를 통해 문부과학성은 한국과 북한, 중국이 역사왜곡이라며 비판하는 내용을 담은 일련의 역사교과서를 승인했다며 한국이 이 문제와 관련해 가장 강하게항의했다고 전했다.

신문은 한국의 노무현 대통령은 일본의 거듭된 독도 영유권 주장과 관련해 "외교전"을 경고해 왔음을 상기시킨 뒤 이규형 한국 외교부 대변인이 이번에 승인된 교과서들은 "보편적인 가치와 역사적인 진실을 고려해볼 때 여전히 크게 부족하다"고밝혔다고 전했다.

신문은 특히 한국 등 해외로부터 제기된 교과서 왜곡 반대 목소리가 일본내 우익 민족주의의 부활 움직임을 우려하는 일본내 반대세력에 영향을 미쳤다며 "일본내반대세력이 이번에 승인된 교과서를 지방교육위원회가 채택하지 못하도록 싸우기로다짐했다"고 보도했다.

파이낸셜 타임스는 이날 역사교과서 문제와 관련해 중국과의 긴장이 고조됨에도일본 정부는 중국내 일본의 방대한 경제적 이권보호와 자국의 유엔안보리 상임이사국 진출 보장을 중국측에 요구했다고 꼬집었다.

이 신문은 중국 외교부 대변인이 자국민들에게 (역사문제에 관한) 견해를 표명할 때 "이성적"으로 대하라고 촉구하면서도 일본의 "역사문제에 대한 무책임한 태도가 중국 인민들에게 강한 분노를 야기시켰다"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신문은 "한국도 (이번에 승인된) 일본 역사 교과서들은 일본의 과거에 대한 왜곡된 견해를 제공하고 있다며 항의했다"고 덧붙였다.

영국 일간 더 타임스 인터넷판도 이날 논쟁적인 역사교과서에 대한 일본 정부의검정으로 중국과 한국이 강하게 항의하고 있다며 교과서 검정에 따른 양국 외무부반응을 소개했다,. 신문은 이번에 승인된 "일본 교과서들은 일본 군대가 중국과 한국 여성을 성노예로 삼았다는 사실을 전혀 언급하지 않고 있는데다, 1937년 중국 난징 대학살 사망자수를 축소하고 일본이 2차 세계대전 당시 중국과 한국인 근로자들을 강제징용한사실을 단순화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신문은 일본의 교과서 검정이후 중국 슈퍼마켓들이 일본음식 불매운동에 나섰다고 전한 뒤 일본 역사교과서는 수십년간 아시아에서 분노를 야기해 왔다며 이 교과서가 2001년 처음 승인됐을 때 한국은 분노의 뜻으로 일본 주재 자국 대사를 9일간소환했다고 소개하기도 했다.

(서울/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