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4.15 19:11 수정 : 2005.04.15 19:11

데이비드 켈리 미국 뉴욕 남부지구 연방검사가 14일 검찰청 사무실에서 수사요원들을 배석시킨 채 유엔 ‘석유-식량 프로그램’ 스캔들에 대한 수사 상황을 발표하고 있다. 뉴욕/AFP 연합



1970년대 중반 ‘코리아게이트’의 주역 박동선씨가 30여년 만에 또다시 불법 로비 혐의로 미국 사법당국의 수사 대상에 올랐다.

뉴욕 연방검찰은 14일(현지시각) 이라크의 사담 후세인 정권을 위해 유엔을 상대로 불법 로비를 벌인 혐의로 체포영장을 발부받았다고 밝혔다.

미국 뉴욕의 남서지구 연방검사인 데이비드 켈리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유엔의 ‘석유-식량 프로그램’을 둘러싼 이라크의 불법 로비사건 수사진행 상황을 발표하면서, 박동선씨가 여기에 연루됐다는 의혹이 있다고 밝혔다.

박씨는 1992년부터 당시 이라크 정부로부터 최소한 2백만달러를 받고 이라크 관리들과 유엔 고위관리들의 만남을 주선하거나, 유엔 관리들을 만나 이라크를 위한 로비활동을 벌였다고 뉴욕 연방검찰은 밝혔다. 연방검찰은 당시 박씨와 함께 로비활동을 벌였던 사람의 협조를 받아, 이 사람의 증언을 토대로 수사를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연방검찰은 소장에서 “자금은 대부분 이라크 뉴욕대표부의 외교행낭을 통해 현금으로 운반됐다”며 “박씨는 받은 돈의 일부를 유엔 관리들을 관리하는 데 썼다”고 말했다.

연방검찰은 박씨 이외에 바하마를 근거로 한 텍사스 석유기업 ‘베이오일’의 사장 데이비드 찰머스와 휴스턴 거주 불가리아인 석유거래업자 루드밀 디오니시에프, 영국인 석유 거래업자 존 어빙 등 3명을 고정가격으로 석유를 판매해 얻은 수백만달러의 이득을 이라크 관리에게 뇌물로 제공한 혐의로 체포해 기소했다. 유죄가 확정될 경우 미국에 공식 로비스트로 등록하지 않고 활동한 혐의를 받고 있는 박씨는 최대 징역 5년형과 25만달러의 벌금형에 처해질 수 있으며, 찰머스 등 나머지 3명은 각각 최대 징역 62년형이 선고될 수 있다.

박씨는 지난해 12월 귀국해 현재 서울 한남동의 누나 소유 집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박씨는 귀국 직전 워싱턴 특파원들과 만났을 때 “언젠가 한국에 영구귀국해 책을 쓰고 싶다”고 말한 적이 있다.

박씨의 미국 안 측근인 강은철씨는 “박씨가 모리스 스트롱 유엔 사무총장 대북 특사의 북한 방문 때 같이 갈 정도로 친했고 다른 유엔 관계자들과도 친분이 있었던 것으로 안다”며 “그러나 이라크 전 정권을 위해 로비를 벌었다는 얘기는 처음 듣는다”고 말했다.

‘코리아게이트’는 70년대 중반 주한미군 철수와 인권정책으로 지미 카터 행정부의 압박을 받던 박정희 정부가 박씨를 내세워 미국 정치인들을 상대로 뇌물 로비를 벌인 사건이다. 코리아게이트는 <워싱턴포스트>가 76년 박씨가 미국 의원들을 상대로 박 정권을 지지해주는 대가로 선거자금 75만달러 등을 제공했다고 폭로하면서 불거지기 시작해 한국에 머물고 있던 박씨의 인도를 둘러싸고 한미간 외교적 갈등으로 비화되기도 했다.

코리아게이트는 결국 박씨가 1978년 미 하원 윤리위 청문회에 자진출두해 혐의 사실을 인정하고 이듬해 기소면제를 받는 형식으로 무마됐다. 워싱턴/박찬수 특파원 pcs@hani.co.kr


■ ‘코리아게이트’란

박 정권 지지대가 미 정치인에 뇌물

‘코리아게이트’는 70년대 중반 주한미군 철수와 인권정책으로 지미 카터 행정부의 압박을 받던 박정희 정부가 박씨를 내세워 미국 정치인들을 상대로 뇌물 로비를 벌인 사건이다.
코리아 게이트는 [워싱턴 포스트]가 76년 박씨가 미국 의원들을 상대로 박 정권을 지지해주는 대가로 선거자금 75만달러 등을 제공했다고 폭로하면서 불거지기 시작해 한국에 머물고 있던 박씨의 인도를 둘러싸고 한미간 외교적 갈등으로 비화되기도 했다.
코리아게이트는 결국 박씨가 1978년 미 하원 윤리위 청문회에 자진출두해 혐의 사실을 인정하고 이듬해 기소 면제를 받는 형식으로 무마됐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