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4.16 09:32 수정 : 2005.04.16 09:32

영국의 시사경제주간지 이코노미스트가 일본의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 진출을 적극 지지하고 나섰다.

이 잡지는 15일자 최신호에서 "일본 없는 안보리 확대는 없다"는 제목의 기사를통해 일본이 안보리 상임이사국이 되는 것은 원시적인 유엔을 개혁하는 과정에서 필연적인 일이라는 논리를 폈다.

잡지는 최근 과거사 문제 등으로 마찰을 빚고 있는 중.일 관계를 상세히 전하면서 그 밑바탕에는 일본의 상임이사국 진출을 질시하는 중국의 속내와 동북아시아에서 정치.경제적 역학관계 변화가 깔려 있다고 진단했다.

잡지에 따르면 지난 10여 년 간 중국과 일본은 국제사회에서 차지하는 각자의위상을 상호 인정해 왔다.

중국은 지정학적으로는 강대국이었지만 경제적 약골이었고 일본은 세계 2위의경제대국이었지만 평화헌법의 제약과 과거에 저지른 죄로 인해 국제무대에서 중요한역할을 맡지 못했다.

하지만 이런 지정학적, 경제적 역학관계에 일대 변화가 일어났다.

중국은 경제적으로 `초강대국'으로 나아가고 있고 아직도 세계 2위의 경제대국 자리를 유지하고있는 일본은 외교적으로 2등 국민으로 남아 있기를 거부하며 안보리 상임이사국 진출을 시도하고 있다.

잡지는 이런 상황 변화 속에서 5개 상임이사국이 거부권이란 막강한 권한을 휘두르며 다른 모든 나라들을 소외시키는 안보리를 확대 개혁하려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면서 인구와 명성, 경제력 등을 감안할 때 일본의 상임이사국 진출을 불가피하다고 주장했다.


잡지는 브라질, 인도, 나이지리아, 이집트 등도 상임이사국이 될 수 있지만 일본이 빠진다면 이는 일본인에게는 어처구니없는 모욕이자 유엔 개혁을 무의미하게하는 일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잡지는 미국이 말로는 안보리 확대를 지지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지만 속으로는현행의 시스템을 유지하기를 바라고 있다며 중국의 반대로 일본이 빠지게 되고 미국의 미온적인 태도로 안보리 확대 자체가 무산된다면 이는 부끄러운 일이 되고 말 것이라고 주장했다.

(런던/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