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4.17 23:38 수정 : 2005.04.17 23:38

미국 최고수준의 권위와 영향력을 자타가 인정하는 신문 뉴욕 타임스가 역사 교과서를 둘러싼 일본과 한국ㆍ중국간 논란에 관해 일본에 편향된 듯한 인상을 주는 기사를 보도해 논란이 예상된다.

뉴욕 타임스는 17일 `주말 리뷰' 섹션에 게재된 일본계 오니시 노리미쓰 특파원의 도쿄발 기사를 통해 정부의 승인을 받아야 하는 역사 교과서가 민족의 정체성 확인을 위해 유용한 도구로 활용되는 것은 한ㆍ중ㆍ일 3개국이 마찬가지라고 지적했다.

신문은 오히려 "(교과서 제작을 위한) 면밀한 조사와 일본의 상대적으로 오랜민주주의 역사를 감안할 때 일본의 교과서는 아마도 이 지역 다른 국가들(한국, 중국)보다 더 균형이 잘 잡혀 있는지 모른다"고 밝혔다.

타임스는 한국과 중국 역시 역사 교과서에 특정 사건을 잘못 기술하거나 생략한부분이 없지 않다면서 대표적인 사례로 중국 교과서가 "미국이 아닌 중국의 저항이 2차대전에서 일본을 패퇴시켰다"고 기술하거나 마오쩌뚱의 잘못된 농업정책으로 3천만명 가량이 숨진 `대약진 운동'에 관해 아무런 언급을 하지 않은 점을 들었다.

또 1980년대 후반 민주화를 이룩한 한국의 교과서는 개선되고 있으나 일제의 식민지배에 협력한 한국인들에 대한 기술 등 `금기'가 아직도 남아 있다고 타임스는주장했다.

신문은 한국 교과서는 일제의 식민통치에 관해 기술하면서 일본의 수탈과 한국의 저항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을 뿐 한국의 근대화에서 식민지배가 행한 역할은 무시했었다는 서울대 백신주씨의 지적도 소개했다.

신문에 따르면 그는 "아직도 (한국 교과서에서는) 수탈에 대한 강조가 남아있다"면서 "그러나 지금 교과서들은 다른 문제, 예를 들어 일제 점령기에 발달된 소비자문화 등을 포함하고 있다"고 밝혔다.

백씨는 "한국 교과서들은 나아지고 있으나 일본은 문제다. 일본 교과서들은 반대방향으로 가고 있다"고 지적했다.


뉴욕 타임스는 1997년과 2002년, 그리고 올해 이른바 `위안부'와 강제징용 문제에 관해 일본 주요 역사 교과서들의 기술 내용이 일제의 부당성을 점차 희석하는 방향으로 변천해 왔음을 비교적 상세히 소개했다.

타임스는 동시에 "전시 일본이 저지른 잘못에 대한 의혹을 강조하는 것은 일본학생들의 장래를 위해 바람직하지 않다"는 `새로운 역사교과서를 만드는 모임'의 후지오카 노부카스(藤岡信勝) 부회장과 "교과서가 정부의 노선을 따르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라는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집권 자민당 간사장의 발언 등 대표적인우파 인사들의 언급을 함께 전했다.

그러나 일본 역사 교과서 가운데 어느 부분이 잘못됐으며 왜 한국과 중국의 대다수 시민이 분개하는 지를 지적하는 두 나라 인사의 논평은 전혀 기사에 반영하지않아 `편향된 보도'라는 지적을 받을 수 있는 여지를 남겼다.

(뉴욕/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