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비켜간 중과 일 22일 자카르타에서 열린 아시아·아프리카 정상회의에 참석한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오른쪽)이 단체사진을 찍던 도중 자신의 앞을 지나가는 고이즈미 준이치로 일본 총리를 바라보고 있다. 자카르타/AP 연합
|
중·일 정상회담 줄다리기
중국과 일본이 정상회담 개최를 둘러싸고 막판 승강이를 벌이고 있다. 일본은 교과서 왜곡과 중국의 격렬한 반일시위 등으로 급격히 악화한 양국 관계를 개선하는 실마리를 찾기 위해 아시아·아프리카 정상회의가 열린 22일 양국 정상회담의 개최를 강력하게 촉구했으나 중국 쪽의 확답을 얻어내지는 못했다. 일본은 23일 개최를 목표로 다시금 중국과 일정 재조정 작업에 들어갔다. 고이즈미 준이치로 일본 총리는 이날 기자단에게 23일 정상회담을 여는 방향으로 조정작업이 진행되고 있다고 밝혔고, 호소다 히로유키 관방장관은 “양쪽이 전향적 태도를 보이고 있다”며 회담 성사를 낙관했다. 일본 쪽은 이날 고이즈미 총리가 정상회의 연설을 통해 과거 침략에 대한 반성과 사죄의 뜻을 밝히는 등 ‘성의’를 보인 것이 정상회담 개최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고이즈미 총리는 이날 연설에서 1995년 무라야마 도미이치 총리의 담화를 인용해 “과거 일본은 식민지배와 침략으로 인해 많은 나라의 국민, 특히 아시아 지역 국민들에게 많은 피해와 고통을 줬다”며 “통절한 반성과 마음으로부터 사죄하는 심정”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일본은 경제대국은 되더라도 군사대국은 되지 않을 것이며, 어떤 문제든지 무력에 의존하지 않고 평화적으로 해결한다는 방침을 견지해 나갈 것”이라며 평화국가의 이미지를 강조했다. 일본 총리가 2국간 회담이나 국회 연설이 아닌, 주요 국제회의에서 국제사회를 향해 이런 역사인식을 밝힌 것은 처음이다. <교도통신>은 이날 고이즈미 총리의 연설은 앞으로 아시아·아프리카 외교의 지침이 될 것이라며, 특히 역사인식 문제로 급격히 고조된 한국과 중국의 일본 비판을 누그러뜨리고 중-일 정상회담을 성사시키기 위한 전략이라고 지적했다. 고이즈미 “과거 반성·사죄” 연설 성의표시
일 “24일 만나자” 물밑작업…중, 확답 안해
|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