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4.23 08:31 수정 : 2005.04.23 08:31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열리고 있는 아시아ㆍ아프리카 정상회의에 참석중인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과 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一郞) 일본 총리가 23일 정상회담을 갖고 관계회복에 나선다.

두 정상의 만남은 지난해 11월 칠레 아시아ㆍ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이후 5개월여만으로, 양국 관계가 국교수교 후 최악에 빠진 가운데 열리는 것이어서 결과가주목된다.

개최 배경 = 정상회담은 고이즈미 총리가 22일 정상회의 연설에서 일제 침략등 과거사에 '통절한 반성과 사과'를 표명하고 중국측이 화답하는 형태로 성사됐다.

쿵취안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고이즈미 총리의 연설 후 기자회견에 "양국외교 당국이 아직 이 문제에 대해 협의하고 있다"며 정상회담 개최에 대한 확인을 거부했으나 일본측 소식통은 정상회담 개최가 확정됐다고 전했다.

일본 정부가 정상회담에 절박했던 것은 최근 과거사문제를 놓고 야기된 중국과한국과의 극한 갈등이 유엔 상임이사국 진출에 걸림돌이 될 것을 우려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고이즈미 총리가 '통절한 반성과 사과'를 표명한 것도 양국에서 고조돼 온 '반일' 명분을 차단하려는 목적에서라는 것이다.

마이니치신문은 일본 정부는 "'이웃나라와의 과거사문제도 처리하지 못하는 일본'이라는 국제사회의 부정적 이미지를 우려했다"고 지적했다.

반면 중국은 정상회담 자체를 '외교카드'로 활용, 고이즈미 총리로부터 '통절한반성과 사과'를 이끌어냄으로써 양국관계의 우위에 서게됐다.


반일 시위군중의 폭력사태 등으로 세계의 따가운 이목이 집중된 가운데 일본의강력한 정상회담 요구를 마냥 무시할 수 없었던 것도 회담에 응하게 된 한 배경으로분석된다.

아울러 양국 정부는 관계악화의 장기화가 경제에 미칠 악영향을 공히 우려한 것으로 관측된다.

전망 = 일본 정부는 회담을 성사시켜 이미지 회복의 계기를 마련한 것 자체가 성과라고 보고 있다.

동중국해 가스전 갈등이나 과거사문제 등 현안에서는 원론적인 수준의 대화 이상은 어렵다는 판단이다.

고이즈미 총리는 중국인의 반일시위로 인한 일본 공관의 파괴에 따른 사과와 배상 요구에 대해서는 "언급할 수도 있으나 외교장관회담과 총리회담은 다르다"며 크게 문제삼지 않을 것임을 시사했다.

다만 원자바오 총리의 방일 약속을 받아내 관계개선의 창구를 열어놓는다는 복안이다.

중국의 경우, 후진타오 주석이 고이즈미 총리의 야스쿠니신사 참배와 대만문제 등 현안에 대해 단호한 입장을 피력할지가 주목된다.

이와 관련, 중국 공산당 소식통은 "일본이 역사나 대만문제 등에서 더이상 중국을 자극하면 반일감정은 억누르기 힘들다"고 지적했다.

또 이번 정상회담을 자국 내 반일시위의 확산을 억지하는 '대내용 카드'로 활용할 것으로도 예상된다.

일본 언론은 정상회담 이후에도 대규모 반일시위가 지속될 경우 후 주석이 정치적으로 곤경에 빠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도쿄/연합뉴스)

광고

관련정보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