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5.03 19:09 수정 : 2005.05.03 19:09

미·독·일 “북한·이란 상황심각”…통제 강화해야
비핵국“미·러 핵군축 미흡…평화이용 보장을”

2일 본부에서 개막된 핵무기비확산조약(NPT) 제7차 평가회의는 첫날부터 핵국과 비핵국간의 의견이 첨예하게 엇갈렸다. 미국 등 핵보유국 진영은 북한과 이란의 핵문제를 문제삼아 핵무기 비확산체제를 강화하자고 주장한 반면 비핵국 진영은 핵보유국의 군축과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 권리를 강조했다.

코피 아난 유엔 사무총장은 개막연설에서 “핵무기의 사용을 막는 궁극적인 길은 전세계의 비핵지대화”라며 “핵무기 없는 세상을 진심으로 추구한다면 모든 국가가 참여하는 핵물질 감축 협상을 시작하는 것이 첫걸음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미국 등 핵보유국에 대해 포괄적핵실험금지조약(CTBT)의 조속한 가입 약속을 재확인하고 핵감축을 촉구했다.

모하메드 엘바라데이 국제원자력기구(IAEA) 총장은 핵물질 농축이나 재처리 시설을 국제기구 또는 지역기구의 통제 아래 두는 방안을 제안하면서 이 방안이 협의되는 동안 새로운 핵주기 시설들의 건설동결을 촉구했다.

미국 대표로 연설한 스티븐 레이드메이커 국무부 차관보는 “핵무기 감축을 위해 지도적인 역할을 수행해온 점을 자랑스럽게 생각한다”며 핵물질 농축이나 재처리 기술의 이전을 전면 금지하자는 조지 부시 대통령의 제안을 재차 강조했다.

요시카 피셔 독일 외무장관은 “이란이 우라늄 농축을 재개한다면 유럽연합과 협상은 붕괴되고 이란 핵문제가 안보리에 회부될 것”이라고 말했다.

마치무라 노부타카 일본 외상은 “북한의 핵개발 프로그램은 국제 핵비확산 체제에 심각한 도전요인일 뿐만 아니라 동북아 평화와 안정에 직접적인 위협”이라며 북한의 6자회담 복귀를 촉구했다.

반면 비동맹국가와 일부 서방 국가들까지를 포함한 비핵국들은 미국의 미흡한 핵 군축 노력을 비난하면서 좀더 적극적인 조처를 요구했다. 유럽연합 대표인 장 아셀본 룩셈부르크 외무장관은 핵연료에 대한 접근권 보장을 지지하면서 “미국과 러시아가 핵무기를 더욱 감축할 것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비동맹국가 대표로 연설한 셰드 하미드 알바르 말레이시아 외무장관은 “미국은 군축보다는 비확산문제를 강조함으로써 균형을 잃고 있으며 이는 비확산 체제를 위태롭게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한국쪽 수석 대표로 참석한 천영우 외교부 정책실장은 3일 회의에서 미국 등 핵국의 군축을 촉구하는 연설을 할 예정이다. 뉴욕/외신종합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