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
"미국 보안시스템 개선에 또 수십억달러 써야할 판" |
미국 정부가 9ㆍ11테러 이후 공항과 항구 등의검문ㆍ검색을 강화하기 위해 45억달러 이상을 지출했으나 보안시스템이 여전히 허술해 막대한 예산을 또 써야할 상황이라고 뉴욕타임스 인터넷판이 8일 보도했다.
신문은 총기나 폭발물, 핵물질, 생화학 무기 탐지를 위한 대부분의 검색 장비들이 9ㆍ11테러 이후 설치됐지만 국토안보부는 이들 시스템의 교체 및 성능개량을 위해 수십억달러를 추가로 지출하려 하고 있다고 전했다.
신문은 정부 기구들의 검토자료와 연방관리, 외부 전문가들의 말을 인용, 일부지출은 장비를 구입한 후 이뤄진 기술 발전에 따른 불가피한 조치지만 대부분은 현행 장치들이 안보개선에 별다른 효과를 내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신문이 문제로 지적한 보안장치 중에는 △일반 물체에서 자연적으로 방사되는방사능과 핵폭탄에서 나오는 방사능을 구분하지 못하는 방사능 측정기 △주요 도시에 설치됐으나 운영 미숙 등으로 생물학적 공격이 발생할 경우 36시간 후에나 결과를 보여주는 공기오염 측정기 △탄저균 외의 생물학 무기류를 찾아내지 못하는 항만검색장비가 포함돼 있다.
연방 관리들은 9.11 테러 직후 곧바로 구입과 설치가 가능한 장비 위주로 구매에 나섰기 때문에 생산까지 시간이 걸리는 미래 기술이나 첨단장비를 사들이지 못한점을 인정하면서도 현재 보안시스템이 아예 없는것 보다는 낫다고 강변했다.
국토안보부도 미국내 보안시스템이 겹쳐 운용돼 한 장비에 문제가 생기더라도다른 장비들이 보완할 수 있다며 당장에 큰 문제가 생기는 것은 아니라는 입장이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연방기구들이 당시 의회와 행정부의 조급한 정책 실행 압력을 받았다는 점을 인정하더라도 일부 사례의 경우 경쟁입찰을 실시하지 않거나 작동시험 등 충분한 사전 검토도 거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미 하원 국토안보특위 위원장인 크리스토퍼 콕스 의원(공화.캘리포니아)은 "9ㆍ11 이후 정부는 엄청난 예산을 가능한 한 빨리 써버리는데 급급했다"면서 "이로 인해 값비싼 실수를 저질렀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