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즈베키스탄 동부 안디잔에서 반정부 시위대에 대한 정부군 발포로 최고 수백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가운데, 14일 이 지역 주민들이 길거리에 널부러져 있는 희생자들의 주검 주위에 모여 있다. 안디잔/AFP 연합
\
|
이슬람 탄압 항의 인디잔서
정부군 발포 시위확산 추세 우즈베키스탄 동부 안디잔에서 지난 13일 벌어진 대규모 반정부 시위가 정부군의 발포로 최고 수백명의 사망자를 내고 진압됐으나, 인근 도시로 시위가 번져 당분간 정국 불안이 지속될 전망이다. 목격자들은 최소 50명에서 최대 500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고 주장했다. 14일 수백명의 유족들은 안디잔 시내 광장에 몰려나와 “살인자 처벌”을 외치며 이슬람 카리모브 대통령의 사임을 촉구했다. 안디잔에서 동쪽으로 50㎞ 떨어진 페르가나 계곡의 카라수 마을에선 이날 시위대가 경찰서 등 관공서에 불을 질렀다. 또 6000명의 주민들은 키르기스탄 국경 지역으로 몰려가 월경을 시도했으나 국경 봉쇄로 넘어가지 못했다. 앞서 13일 시위대는 안디잔에서 이슬람 탄압에 항의하며 지방관청과 교도소 등을 장악하고 정부퇴진 등을 요구했으나, 이날 오후 진압군경의 발포로 몇 시간만에 해산됐다. 카리모프 대통령은 그러나 군 발포 명령을 부인했다. 현지 병원 관계자는 영국 <비비시방송>에 사망자 수가 50명이라고 전했으나, 한 인권운동가는 <로이터통신>에 500명이 숨졌다고 말했다. 또다른 인권 운동가는 <아에프페통신>에 “300명의 주검이 버스와 트럭에 쌓여 있는 것을 봤는데 그 중 최소 3분의 1이 여성이었다”고 말했다. 당국의 경고로 대부분 외국 기자들이 안디잔을 떠난데다 통신마저 봉쇄돼 정확한 상황은 전해지지 않고 있다. 이번 사태는 15년째 장기집권하고 있는 카리모프 체제를 지원해 온 미국에 상당한 부담이 될 것으로 보인다. 과거 우즈베크의 인권유린을 비난했던 미국은 9·11테러 이후 아프가니스탄 침공을 위해 기지를 제공한 우즈베크에 연간 1000만달러의 군사원조를 해오고 있다. 이번 사태가 대규모 민중봉기 및 정권교체로 이어질지에 대해선 회의적인 시각이 많다. 미국의 대테러전쟁 동맹국인 우즈베크의 인권문제를 제기해온 크레이그 머레이 전 이라크주재 영국 대사는 “안디잔 시위대는 온건한 세력”이라며 “미국과 영국이 우즈베크에서 공정한 조기 선거를 요구할 수 있을 것인가”라고 의문을 제기했다.
강김아리 기자, 외신종합 ari@hani.co.kr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