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5.24 09:27 수정 : 2005.05.24 09:27

우즈베키스탄 반정부 시위와 정부의 강경 진압에 대한 보도가 벌써 사그라지고 있는 가운데 당시 현장을 목격하고 보도한 외국 언론사 소속 현지 기자들이 정부의 탄압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한 기자는 "내 개인의 안전에 대해 심각하게 걱정된다"고 말했으며 다른 기자는 "모든 일이 진정되면 정부는 사태 해결에 나설 것"이라고 우려했다.

타슈켄트에서 인권 운동을 하는 수라트 이크라모프는 정부가 "특히 기자들 사이에서 `국민의 적'을 찾으려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언론에 대한 정부 탄압의 우려가 나오는 것은 우즈베크 동부 안디잔에서 일어난반정부 시위와 진압에 대한 정부의 입장이 현장에 있던 기자들의 보도와 크게 달랐기 때문이다.

우즈베크 당국은 이번 시위를 이슬람 극렬세력이 정부를 전복시키려 저지른 일로 보이도록 하기 위해 애쓰고 있으나 기자들과 목격자들은 정부군이 당시 무장하지도 않은 시민들을 향해 무차별 발포했다고 전했다.

정부가 발표한 공식 사망자 수는 169명이나 비정부 단체들의 추산치는 보통 500∼1천명으로 큰 차이가 난다.

우즈베크의 모든 언론은 사실상 이슬람 카리모프 정권의 강력한 통제 아래에 있어 당시 시위에 대한 직접 보도를 한 것은 정부 검열에서 자유로운 외국 언론사 소속 현지 기자들뿐이었다.

그에 따라 당시 보도에 대한 정부의 보복이 있다면 이 사태를 목격한 기자 10여명 중 가장 위험에 노출되기 쉬운 사람들은 우즈베크에 가족들이 모두 있는 현지 출신 기자들인 셈. 기자들에 대한 불길한 징조는 안디잔 사태가 발생한 뒤 며칠만에 시작됐다.


카리모프 대통령은 사태 발생 나흘 뒤 기자회견에서 "나는 우즈베크의 친구라고부를 수 없는 (기자들을) 수십명 지명할 수 있다는 경고를 하고 싶다"고 말했다.

이 성명이 나온 뒤 현지 신문과 방송들은 정부의 목소리를 따라 주민들에게 우즈베크를 불안하게 만들려는 사람들에 대한 경계를 늦추지 말 것을 촉구하고 있다.

최근 정부의 언론 서비스 사이트에 게재된 글에는 "이제 이러한 기사, 보도, 소문을 작성한 사람들이 어떤 목적으로, 누구의 지시로 이를 수행하는 것인지 알아내는 것이 중요하다"는 경고가 담기기도 했다.

현재 정부가 현지 기자들에 대한 보복에 실제로 나설지는 알 수 없으며 탄압 수준도 어느 정도일지 알기 어렵다.

그러나 우즈베크에서 행해지고 있는 고문이 조직적인 수준이라는 지적은 국제사회에서 이미 오래 전부터 나오고 있어 우려가 계속되고 있다.

다른 기자들처럼 익명을 요구한 또 다른 기자는 "정부는 지금 다친 동물과 같다"며 "앞으로 어떻게 행동할지 알 수 없다"고 말했다.

(타슈켄트 AFP/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