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5.30 22:37 수정 : 2005.05.30 22:37

주변국 표정

프랑스의 유럽연합 헌법에 대한 국민투표가 부결됐다는 소식에, 국민투표를 앞둔 나라는 자국에 미칠 영향을 경계하면서 촉각을 곤두세웠고, 헌법 비준을 마친 나라는 실망감을 드러내면서도 유럽 통합에 대한 비관적인 분위기를 누그러뜨리기 위해 노력했다.

6월1일 국민투표를 앞두고 있는 얀 페테르 발케넨데 네덜란드 총리는 “네덜란드에선 국민투표가 통과돼야 할 더 많은 이유가 있다”며 “네덜란드는 헌법을 통해 더 많은 것을 얻을 수 있으며, 이는 유럽과 우리나라의 이익에 부합한다”고 밝혀 헌법 채택에 대한 회의론을 차단했다.

오는 9월 국민투표를 치르는 아네르스 포그 라스무센 덴마크 총리는 “프랑스의 결과는 유감이지만, 모든 회원국은 자국민의 의견을 경청할 기회가 주어져야 한다”며 애써 담담한 모습을 보였다.

내년 초에 국민투표를 계획 중인 잭 스트로 영국 외무장관은 “이것은 유럽의 미래와 관련해 우리 모두에게 근본적인 문제를 제기한다”며 “우리가 지금 필요한 것은 반성의 시간”이라고 말했다. 반면, 유럽연합 헌법 채택에 반대하는 영국 보수당은 “프랑스 국민들이 나머지 유럽 국민을 위해 좋은 일을 한 것 같다”며 “이번 결과는 유럽의 지배계층과 시민들 사이에 큰 틈새가 있다는 것을 보여줬다”고 논평했다.

이달 비준 절차를 마친 호세 루이스 로드리게스 사파테로 스페인 총리는 “프랑스의 결과는 좋은 소식도 아니지만 그렇다고 재앙도 아니다”라고 말했으며, 역시 이달 비준 절차를 마무리한 게르하르트 슈뢰더 독일 총리는 “프랑스 결과는 유럽 헌법 절차에 큰 타격이 됐지만 이것이 끝은 아니다”라며 유럽 통합 위기설을 차단하려 애썼다.

유럽연합 가입을 추진 중인 터키는 프랑스 결과가 오는 10월에 시작할 예정인 자국의 가입 협상에 영향을 주지 않길 바란다고 말했다.

지난해 신규 가입한 동유럽 나라들은 이번 사태로 이들이 누려온 혜택이 끝날 것으로 우려하면서 유럽 통합이 ‘물건너 간 것’으로 평가했다. 강김아리 기자, 외신종합 ari@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