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6.02 15:14 수정 : 2005.06.02 15:14

지난달 유럽연합(EU)에 이어 네덜란드에서도 1일 유럽연합헌법 국민투표가 부결되자 유럽 각국 대부분의 매체들은 2일 "이로써 EU헌법은 사망했다"고 일제히 보도했다.

영국 일간 가디언은 "프랑스가 EU헌법에 치명적인 타격을 가했다면 네덜란드는최후의 일격을 가한 셈"이라고 분석했고, 일간 인디펜던트도 "유럽연합헌법은 죽어없어졌다"고 선언했다.

스페인 유력지인 엘 파리스는 "프랑스 부결 사흘만에 네덜란드에서 더욱 많은표차로 부결됨으로써 이 헌법이 임종의 고통에 처해 있음을 확인했다"고 보도했다.

네덜란드의 국민투표 결과 EU헌법은 반대 61.6%로 부결됐다.

앞서 지난달 29일열린 프랑스 국민투표에서는 54.9%의 반대표가 나왔다.

프랑스 일간 르 피가로는 "연이은 EU헌법 부결은 유럽 위기의 정도를 보여주고있다"고 전했다.

유럽연합 헌법 발효를 위해서는 25개 전 회원국의 비준을 받아야하지만, 유럽연합국의 어떤 정상도 부결사태 이후 헌법을 발효할 수 있는 방안을 명확히 제시하지 못하고 있음을 지적한 것이다.

네덜란드 언론은 정당들이 나서서 헌법 찬반을 놓고 갈라진 국민을 통합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일간 트라우는 "이번 부결은 정부와 여당에 일격을 가한 것"이라고했다.

그러나 텔레그라프는 "가속을 해야 하는 상황에서 유권자들이 브레이크를 밟은 셈"이라고 우려했다.

독일 일간 쥐트도이체 차이퉁은 "네덜란드 정부의 가결 운동과 방법이 어설펐다"고 지적했다.

인터내셔널 헤럴드 트리뷴은 전문가들의 말은 인용, "유럽헌법은 사(死)문서나 마찬가지"라고 보도했다.

네덜란드의 상황을 주시하던 영국의 언론들은 차기 EU의장을 맡게 된 토니 블레어 총리의 정부에게 유럽연합 개혁 명분을 마련하게 됐다고 투표 결과를 분석했다.

인디펜던트는 블레어 총리가 유럽연합국 사이의 새로운 합의를 이끌어낼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됐다고 봤으며, 일간 텔레그래프는 영국의 입장에서는 조세제도, 산업정책, 사회정책, 빈민 및 이주민 정책 등 다른 회원국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지않는 내부 정책을 스스로 결정할 수 있게 됐다고 분석했다.

(파리 AFP/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