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6.02 19:09 수정 : 2005.06.02 19:09

일 신문 “미 안보리확대구상
회원국 반발 가능성

미국 정부가 지역균형보다는 유엔에의 ‘공헌도’를 주요 선정기준으로 하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 확대 구상을 마련했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이 2일 보도했다.

신문은 이달 발표되는 이 구상이 상임이사국 진출을 추진하는 일본과 독일, 인도, 브라질 등 이른바 G4 가운데 일본만을 지지하는 듯한 인상을 풍겨 회원국들의 반발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미국 정부의 구상에는 또 신규 상임이사국의 거부권은 인정하지 않고, 확대 숫자도 최소한으로 한다는 방침 등이 포함돼 있다고 신문은 전했다.

공헌도의 경우 유엔 분담금 외에 유엔의 평화유지활동(PKO) 참가, 산하 국제기구에의 지원실적 등을 포함한다.

신문은 미국의 구상이 유엔 분담금 2위 국가인 일본에게는 유리한 내용이지만 G4 공조에 균열을 가져올 가능성을 제기했다. 인도와 브라질은 유엔 분담금이 상위 10위 안에도 들지 못한다.

한편 왕광야 유엔 주재 중국 대사는 1일 중국이 일본의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 진출을 저지하기 위해서는 거부권 행사도 불사할 것임을 시사했다고 홍콩 <봉황 위성텔레비전>이 2일 보도했다.

왕 대사는 1일 유엔 상임이사국 확충에 반대하는 국가들의 모임인 ‘단결과 합의 운동’의 회의가 끝난 뒤 가진 기자회견에서 “상임이사국 증설 요구안은 유엔 개혁에 이롭지 않으며, 만약 4개국이 초안을 총회의 표결에 부친다면 중국은 이에 대해 반대 투표할 것”임을 분명히 했다.


베이징 도쿄/이상수 특파원, 연합 leess@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