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6.10 22:09 수정 : 2005.06.10 22:09

미국은 지난 6일 뉴욕에서 이뤄진 북-미 실무접촉에서 늦어도 7월 중순까지 6자 회담 복귀에 대한 최종 결단을 내릴 것을 북한에 요구했다고 <교도통신>이 10일 베이징발로 보도했다. 이에 대해 북한은 △콘돌리자 라이스 국무장관의 ‘압제국가’ 발언 철회 △김정일 체제 전복을 기도하지 않는다는 확약 등 두 가지를 회담 복귀의 사실상 최종 조건으로 제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또 6자 회담을 군축 회담으로 바꾸자는 요구는 하지 않았으나 ‘핵보유국’으로 대우해 줄 것을 재차 요구했다. 그러나 북-미 협의 소식통들은 북한이 그동안 요구해온 ‘압제국가’ 발언에 대한 사과는 요구하지 않았다고 전했다.

이번 접촉에서 북한은 지난달 30일 접촉에서 미국이 북한을 ‘주권국’으로 인정하고 부시 대통령이 5월 말 회견에서 김정일 국방위원장에게 ‘미스터’라는 경칭을 붙여 부른 것 등을 ‘평가한다’고 밝혔다. 다만 체니 부통령 등 미국 정부 고위관계자들의 강압적인 발언이 잇따르고 있는 점을 들어 “어떤 게 미국의 진짜 (대북) 정책인지”에 대해 설명을 요구하면서 라이스 장관의 발언을 철회하고 체제 전복을 정책화하지 않겠다는 확실한 방침을 표명하라고 다그쳤다.

미국은 이번 접촉에서 북한이 보인 태도가 6자 회담 틀 안에 머물겠다는 의사표시인 것으로 받아들이고 회담 복귀 시기를 분명히 밝히라고 요청했으나 북한은 “이번에 시기까지 밝히라는 훈령을 본국으로부터 받지 않았다”며 빠져나간 것으로 전해졌다.

<교도통신>은 뉴욕 접촉에서 제시한 복귀조건은 북한이 6자 회담의 궁극적인 목표를 체제유지에 두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며, 강경과 온건 사이를 왔다갔다하는 부시 정권의 대북 정책에 대한 분석작업이 최종 단계에 와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풀이했다. 도쿄/연합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