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0.07.28 11:32 수정 : 2010.07.28 15:17

카다피 정보 수집하던 국정원 요원 추방 알려지자 누리꾼들 ‘냉소’
“11조 건설수주 날아가나”…‘미국 위한 스파이 활동’ 여부도 논란

리비아가 최근 무아마르 알 카다피 국가원수와 가족의 동태를 수집한 혐의로 국가정보원 소속 한국 외교관을 추방한 것으로 전해져 이명박 정부의 외교성적표에 빨간줄이 더해졌다. 누리꾼들은 “이명박 정부가 이제 리비아까지 사찰하느냐”라며 냉소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한 누리꾼은 자신의 트위터에 “정부가 외국 지도자까지 사찰한 건가요? 카다피가 노사모 회원이었나?”라며 정부의 외교적 실패를 지적했다. “다른 나라 국가원수까지 사찰하다니…. 외교적 결례를 넘어서 무례입니다.” “입장을 바꿔 리비아 스파이가 우리 대통령 주변과 영포회를 털었다면 대표부 철수나 추방 정도로 끝났을까요?” 따위의 자조섞인 댓글도 잇따랐다.

 카다피 국가원수가 격분해 한국과의 외교관계를 끊으라고 지시한 것으로 전해진 대목에선 “우리 건설노동자들이 수십년 동안 동안 일군 리비아와의 우정이 한순간에 날아가게 생겼다”며 아쉬움을 토로하는 누리꾼들이 많았다. 한 누리꾼은 “리비아랑 관계가 나빠지면서 11조 규모의 건설 수주가 날아갈 위기라네요. 어디 하나 빠지는 게 없어요. 정치면 정치, 외교면 외교, 국방이면 국방, 경제면 경제…. 위대하신 대통령님의 놀라운 능력에 그저 감복할 뿐입니다”라고 말했다.

 더욱이 이번 사태가 한국이 리비아에서 미국을 위한 스파이 활동을 한 데 대한 리비아 정부의 항의에서 비롯한 것으로 알려져 파문이 확산되고 있다. 이전에도 미국 정보기관이 직접 첩보활동을 하기 힘든 아시아나 아랍 지역에서 한국 정보기관의 협조를 구하거나, 공조하곤 했다는 지적이 있었던 터라 리비아의 주장이 사실로 드러날 경우 ‘한국의 미국 스파이 심부름’ 논란이 확산될 전망이다. 중국도 최근 관영언론을 통해 불법으로 신장위구르자치구를 측량한 한국인을 추방했다고 보도하면서, 이 한국인의 배후에 미국 정보기관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는 의혹을 제기하고 나섰다.

 인터넷 뉴스사이트 <뷰스앤뉴스>는 28일 <앗샤르끌 아우싸트> 등 아랍 언론들의 보도를 인용해, 리비아 정보당국이 한국대사관에 근무하는 한 외교관이 카다피 국가원수와 그의 가족에 대한 첩보를 수집한 혐의를 잡고, 이 첩보활동이 ‘다른 나라를 위한 것’이었는지를 캤다고 전했다. 문제의 한국 외교관은 지난달 추방된 국정원 소속 요원으로 확인됐다. 리비아 정보당국은 이 외교관이 리비아 관리 등 정보원을 만나 돈을 주고 취득한 정보를 ‘미국’과 ‘이스라엘’에 넘긴 혐의가 있다고 주장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외교관의 첩보활동은 곧바로 카다피 국가원수에게 보고됐으며, 카다피 국가원수는 이에 격분해 “한국과 외교관계를 끊으라”는 지시를 내린 것으로 전해졌다. 리비아 최고지도자의 단교 지시에 놀란 이명박 대통령은 형인 이상득 한나라당 지난 6일 의원을 특사자격으로 리비아에 급파했으나, 이 의원은 카다피 국가원수를 만나지조차 못하고 돌아왔다. 리비아 정보당국은 문제의 외교관과 같은 시기에 불법선교 혐의로 체포된 한국인에게도 간첩 혐의를 씌우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조선일보>는 “리비아는 ‘국정원 직원과 선교사의 활동에 깊은 관련이 있으며, 그 배후엔 미국이 있다’는 주장을 한국 정부에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고 전했다.

 중국 관영 <환구시보>도 최근 신장위구르자치구 등지에서 불법으로 측량활동을 한 한국인 등을 추방했다고 보도하며, 이 한국인의 배후에 미국 정보기관이 있는 듯하다는 의혹을 제기하고 나섰다고 <뷰스앤뉴스>가 전했다. <환구시보>는 2005~2007년에 적발된 한국인과 일본인에 의한 위법측량 사건을 상세히 전한 뒤, “위법측량을 행한 한국인과 일본인의 배후에는 미국과 한국, 일본의 정보기관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신문은 “한국인 등은 중국어를 유창하게 구사하면 외견상 중국인과 비슷해 보이기 때문에 이런 활동을 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외교가 일각에선 미국 정보기관이 인종적 특성 때문에 정보요원의 활동이 쉽게 노출되는 아시아 등지에서 한국 정보기관에 협조 요청을 해오곤 했다고 주장한다. 이들 지역에서 접근성이 좋은 한국 정보기관을 대행자로 활용하고 했다는 것이다. 리비아와 중국이 제기한 의혹이 사실로 드러날 경우 한국의 미국 스파이 심부름 논란이 커지면서, 한국이 외교무대에서 적잖은 타격을 입을 것으로 보인다. 중국은 최근 천안함 사건과 한·미 군사합동훈련을 놓고 한국을 곱게 보지 않고 있는 상황이어서 한-중 관계에도 악영향을 끼칠 것으로 전망된다. 


 e뉴스팀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