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 언론, 역사인식 간극 메우지 못했다 |
일본 언론은 21일 노무현 대통령과 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一郞) 총리간 정상회담에도 불구, 역사인식에 대한 양국의 간극을 메우지 못했다고 평가했다.
합의사항에 포함된 새로운 추도시설 건설에 대해서도 야스쿠니신사에 합사돼 있는 A급전범을 어떻게 할지에 대한 언급이 없는데다 `일본 국내상황을 보아가면서'라는 조건이 붙어있어 실현 여부가 불투명하다고 지적했다.
일본 정계는 추도시설 건설에 대해 엇갈린 반응을 보였다.
◇ 언론 반응 = 아사히신문은 양국 정상이 2시간에 걸친 회담의 대부분을 역사인식에 관한 의견교환에 할애했지만 총리의 야스쿠니신사참배 등을 둘러싼 간극을 메우지 못했다고 평가했다.
아사히는 이날짜 사설에서도 일본측이 새로운 전몰자 추도시설과 평화기원시설건립을 검토한다는 합의가 이뤄졌지만 "일본의 여론과 제반사정을 고려해"라는 조건이 붙어있어 반드시 하겠다는 약속이라고 보기는 어렵다고 지적했다.
일본 언론에 따르면 고이즈미 총리는 수행기자들과의 간담회에서 새로운 추도시설 건설문제에 대해 "국내 상황을 봐가면서 검토하겠다.
(남이) 하라고 해서 하는게아니라 일본인 자신이 생각할 문제"라고 말했다.
"오해하는 분이 많지만 새로운 추도시설이 야스쿠니신사를 대신하는 일은 있을수 없다"는 설명도 재차 덧붙였다.
요미우리신문도 역사에 관한 간극해소에 실패했다면서 노무현 대통령이고이즈미 총리의 야스쿠니 참배와 교과서 검정에 관해 강경자세를 보인데 대해 일본정부는 "한국 국내용 발언으로 어쩔 수 없는 측면이 있는"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다고 전했다.
이 신문은 `대화계속의 모양은 갖췄지만'이라는 제목의 사설에서 대화를 계속한다는데 합의했지만 관계개선으로 이어질지 여부에 대해서는 불안을 떨칠 수 없다고말했다.
마이니치신문도 고이즈미 총리가 야스쿠니 참배중지 요구에 응하지 않은데다 노대통령도 여론을 의식해 강경자세를 보였다면서 양측의 주장이 평행선을 달렸다고 평가했다.
마이니치는 사설에서 역사인식에 대한 간극을 메우는데는 실패했지만 "정상 상호방문이 중단돼 있는 일ㆍ중관계에 비하면 그나마 나은 편"이라고 지적하고 양국정상은 `셔틀외교'를 중시해 관계를 회복시키려는 노력을 계속하라고 촉구했다.
교도통신은 해설기사에서 예상대로 고이즈미 총리의 야스쿠니신사참배 등 역사문제에 관해 "진지한 의견교환"(노대통령)이 이뤄졌지만 합의보다는 `간격'이 눈에 띄는 회담이었다고 지적했다.
◇ 합의사항에 대한 반응 = 일본 정계는 새로운 추도시설 건설을 검토하겠다는 고이즈미 총리의 발언에 대해 엇갈린 반응을 보였다.
자민당 의원인 고무라 마사히코(高村正彦) 전 외상은 새로운 추도시설이 건설이"최상의 해결책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고무라 전 외상은 새 추도시설이 완성돼도 그후 총리직을 맡은 사람이 야스쿠니를 참배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총리가 야스쿠니에는 가지 않겠다고 작정한 후에건설하는 것이 아니면 일시적으로 진정된 문제가 더 커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마다이치 사민당 간사장도 담화를 발표, "이제와서 (총리자신의) 야스쿠니참배와는 별도로 검토하겠다는 것은 너무 편의주의적"이라고 지적하고 "회담석상에서 참배를 중단하겠다고 확실히 말했어야 한다"고 비판했다.
반면 간자키 다케노리(神崎武法) 공명당 대표는 "(추도시설 건설을 향한) 일보전진으로 받아들인다"며 환영의 뜻을 나타냈다.
이치다 공산당 서기국장도 "국민이 합의해 침략전쟁의 반성위에서 희생자를 추도하는 시설을 만드는데는 찬성"이라고 말해 공산당 간부로는 처음으로 추도시설 건설을 지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역사공동연구 결과를 교과서에 참고키로 한데 대해서도 회의적인 반응이 많다.
문부과학성은 "교과서 집필자가 내용을 참고할 수는 있지만 국가가 반영하라고요구하는 일은 검정제도상 어렵다"는 기존 입장을 고수했다.
한ㆍ중ㆍ일 3국 공통역사부교재 제작을 추진하고 있는 다와라 요시부미`어린이와 교과서 전국네트워크 21' 사무국장은 "통일된 하나의 교재 제작을 전제로하지 않는 한 의견통일이 이뤄질 수 없다"면서 "한국측의 신용을 잃을 우려가 있는만큼 하지 않는게 오히려 낫다"고 말했다.
(도쿄/연합뉴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