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명성·인권존중등 담아
검증식이지만 압박 클듯
국제표준화기구(ISO)는 1일 기업 등의 사회적 책임(SR: Social Responsibility)에 관한 국제표준인 ISO 26000 지침서를 공식 발간했다. 이날 스위스 제네바 국제회의센터(CICG)에서는 롭 스틸 ISO 회장과 각국 대표부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발간행사가 열렸다.
ISO 26000은 기계 분야의 표준화 작업에서 출발한 국제표준화기구가 모든 산업 영역, 특히 기업 등의 사회적 책임에까지 영역을 넓혀 표준화했다는 의미가 있다. 사회적 책임에 대한 국제표준안은 2005년 3월 브라질 살바도르 첫 총회부터 5월 덴마크 코펜하겐의 마지막 총회까지 모두 8차례의 총회 논의를 거쳐 마련됐다. 지난 9월 한국을 포함해 77개 참여국을 대상으로 실시한 투표에서 5개국을 제외한 93%의 찬성을 얻어 국제표준으로 최종 결정됐으며 이번에 지침서를 내놓은 것이다.
기업 등 사회의 모든 조직이 의사결정이나 활동을 할 때 소속된 사회에 이익이 되도록 하는 책임을 규정한 ISO 26000은 기업 조직의 지배구조, 인권 및 노동 관행, 생태계에 대한 고려, 공정거래 관행, 소비자 이슈, 지역사회 발전 등 7가지를 핵심 주제로 삼아 세부적인 표준을 만들었으며, 이번 지침서는 각각에 대한 구체적 내용과 쟁점, 해설, 권고 사항을 담았다. ISO 26000은 특히 사회적 책임의 원칙으로 설명 책임, 투명성, 이해관계자의 이해 존중 , 국제 행동규범 존중, 인권 존중 등 7가지 원칙을 내세웠다.
다만 기술규격과 품질에 관한 일반적인 ISO 표준안과 달리 이 표준안은 인증제가 아닌 검증제 방식이라는 점에서 강제성을 띠지는 않는다. 그러나 특정기업이 이 기준에 따라 검증한 결과 부정적 결과가 나올 경우 기업 이미지에 심각한 타격을 받을 수 있다. 강태호 기자 kankan1@hani.co.kr
[한겨레 주요기사] ■ 서울-부산 반나절 생활권? 열차 기다리다 반나절
■ 신병 교육때 전화통화 금지는 ‘합헌’
■ 북한 “우리 어뢰조각 건네줄 용의있다”
■ “쿠릴열도는 일 북방영토” 미국은 이번에도 ‘일본편’
■ 두들겨맞는 ‘면책 특권’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