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우유 이용한 바이오테러 연구논문 논란 |
미국 내 우유공급시스템에 독극물을 투입, 수십만명을 살상하는 바이오테러가 빚어질 수 있다는 연구보고서가 공개돼 미 보건당국과 연구단체 사이에 논란이 일고 있다.
미 국립과학아카데미(NAS)는 28일 이 기관 웹사이트에 테러리스트들이 미국 내우유공급체계에 보툴리누스균을 투입할 수 있을지 여부와, 그 결과는 어떨지 등을다룬 스탠퍼드대 연구팀의 논문과 관련 논평을 게재했다. NAS는 다음달 12일 이 기관이 발행하는 잡지에도 논문을 정식 게재할 예정이다.
이 논문은 젖소에서 우유가 채취돼 소비자들에게 공급되기까지의 과정에서 농장탱크, 우유수송트럭, 우유가공공장 내 탱크 등 독극물 투입에 노출될 가능성이 있는취약지점들을 분석했다. 또 1g의 독극물이 투입될 경우 10만명, 10g이 들어가면 56만8천명에게 영향이 미칠 것으로 파급효과를 추산했다.
연구진은 이에 따라 우유 탱크와 트럭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열쇠로 잠가놓는등 다양한 테러 예방조치를 취할 것과 식품산업 전반에 대해서도 비슷한 보호방안을마련할 것을 정부에 촉구했다. 이 같은 연구결과가 발표되자 미 보건당국은 우유공급체계의 취약지점 등이 너무 자세하게 드러나 테러분자들에게 악용될 가능성이 있다며 우려를 표명했다.
그러나 NAS측은 공개된 내용 중에 테러리스트들에게 도움이 될 만한 것은 아무것도 없으며 오히려 바이오테러 예방에 유용할 것이라고 반박했다. 이 논문은 당초 5월30일 발표될 예정이었으나 보건당국의 요청에 의해 공개가 늦어졌다. (워싱턴 AP/연합뉴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