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6.30 02:41 수정 : 2005.06.30 02:41

미국은 29일을 기해 북한의 대량살상무기(WMD) 확산에 관련있다고 판단된 북한 회사 3개사가 현재 미국 내에 갖고 있거나 앞으로 가질 모든 자산에 대한 동결령을 내렸다.

조지 부시 대통령은 이날 발표한 대통령령을 통해 북한을 포함해 이란, 시리아등의 WMD 확산에 직접 관여했거나 연루된 이들 나라 회사들의 현재와 미래의 미국내자산을 동결한다고 밝혔다.

이 동결 조치는 대통령령의 부속서에 지목된 이들 회사 자체 자산 뿐 아니라 이들 회사와 거래가 있는 모든 미국 기업이나 외국 기업의 자산과 미국내 기업활동에 대해서도 적용된다.

부시 대통령은 이와 함께 미국의 최우선 정보관심 대상 국가나 지역에 대한 각종 정보기관들의 정보수집과 분석을 조정하고 정보전략을 개발토록 '특명관(missionmanager)'을 국가정보국(DNI)장 산하에 설치토록 했다. 정보관심 국가에는 북한과 중국, 이란 등이 포함된다고 미 언론은 보도했다.

부시 대통령의 이날 조치는 지난해 G8(G7+러시아) 정상회의에서 논의된 WMD 확산방지 대책과 최근 미 WMD정보역량평가위원회의 정보력 강화 건의안에 따른 것이다.

그러나 북한의 6자회담 복귀 조짐에 따라 6자회담 재개를 위한 외교활동이 활발하게 진행중인 상황에서 북한과 북한 기업을 겨냥한 이같은 조치가 발표됨에 따라북한의 반발이 예상돼 6자회담에 영향이 미칠지 주목된다.

이와 관련, 한 외교소식통은 "이번 조치는 미국이 그동안 취해온 WMD 확산 방지조치의 일환으로, 북한만 겨냥한 게 아니라 일반론적인 조치인 만큼 직접적인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미국 정부도 이번 조치가 "6자회담과는 전혀 관계없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워싱턴/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