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4일 미국 샌프란시스코 스탠퍼드대 엔시나 빌딩에서 스탠퍼드대 아시아태평양연구소가 한국학 프로그램 개설 10돌을 맞아 북한 문제 세미나를 진행하고 있다. 샌프란시스코/권태호 특파원
|
미국내 한국학 확산
인문학 중심 탈피…스탠퍼드대 한국학10돌 토론도 ‘북한’ 주제
중국·일본학 비하면 아직 걸음마 단계…“한국기업 지원 아쉬워”
지난 24일 미국 스탠퍼드대 엔시나 빌딩에서는 아침 8시부터 한국과 미국의 학자, 정치인 등 20여명이 북한 문제를 놓고 진지한 토론을 벌였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2012’라는 제목으로 열린 이 세미나는 스탠퍼드대 아시아태평양연구소가 한국학 프로그램 설치 10주년을 기념해 연 것이다. 이 프로그램을 거쳐간 존 에버러드 전 주북한 영국대사, 김형오 전 국회의장, 마이클 아머코스트 전 주일본 미국대사, 김학준 <동아일보> 고문, 박수길 전 유엔대사, 윌리엄 뉴컴 전 미 국무부 고문, 박병원 전 청와대 경제수석, 유명환·윤영관 전 외교통상부 장관, 정대철 전 의원 등을 비롯해 조너선 폴럭 브루킹스연구소 선임연구원, 임형배(고려대), 고유환(동국대), 박태호(서울대), 앤드루 나치어스(조지타운대) 등 북한 관련 학자 등이 한자리에 앉았다. 오후 5시까지 이어진 이날 토론회는 워싱턴 싱크탱크에서 열리는 북한문제 세미나에 가까웠다.
한국학이 다양해지고 있다. 지금까지 한국학이라면, 조선시대 역사나 언어, 문화 등 인문학이 주류를 이뤘다. 그러나 최근에는 북한 문제, 한-미 관계, 한국 사회 등 분야가 다채로워지고 있다.
한국전쟁 뒤 미국에서 본격적으로 시작된 한국학은 동부의 ‘하버드-연경학사’와 하와이의 ‘동서센터’ 등이 시초다. 이후 미국의 한국학 태두인 제임스 팔레 교수의 워싱턴주립대, 한인들이 많은 로스앤젤레스의 캘리포니아주립대(UCLA), 남캘리포니아대(USC), 샌프란시스코의 버클리대, 스탠퍼드대 등이 뒤를 이었다. 이외에 존스홉킨스대, 펜실베이니아대, 컬럼비아대, 미시간대 등 모두 11개 대학이 한국학센터를 운영중이다. 한국학 교수직을 설치한 대학은 44곳, 한국학 강의는 200여개에 이른다.
|
미국 아시아학회 회원 분포 / 미국 대학 한국학
|
샌프란시스코/권태호 특파원 ho@hani.co.kr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