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수컷 원숭이가 싸움에서 패해 바닥에 주저앉아 울부짖고 있을 때 다른 원숭이들이 다가와 끌어안고 키스하거나 털을 다듬어 주면서 위로했다는 것. 게티스버그대의 스티븐 시비 교수는 생쥐들이 뒤엉켜 싸우는 놀이를 할 때 덩치큰 생쥐가 작은 놈에게는 짐짓 져주는 경우가 많다는 점을 들어 생쥐도 '공정한 게임'에 대한 감각을 갖고 있다고 주장했다. 베코프 교수는 "동물들은 원시적 형태의 도덕심은 갖추고 있다"면서 "이는 모든동물들 가운데 유독 인간들 사이에서만 갑자기 도덕적 행태가 나타났다는 주장 보다진화론에 더욱 일치하는 생각"이라고 지적했다. (뉴욕/연합뉴스)
|
동물에게도 ‘윤리의식’ 있다 |
10년 이상 개들의 행태를 관찰하고 이를 비디오 테이프로 녹화해 분석해온 미국의 동물행태학자 마크 베코프 콜로라도대 교수는개들 사이에서도 규율에 어긋난 행동에 대해 벌칙이 있음을 밝혀냈다.
예를 들어 장난으로 살짝 물기로 약속해놓고 세게 무는 개는 집단으로부터 따돌림을 받는다는 것. 시사주간지 타임 최신호(7월11일자)는 동물의 행태에 대한 연구가 진전되면서점점 더 많은 학자들이 개나 침팬지, 하이에나, 원숭이, 돌고래, 새, 심지어 생쥐에이르는 여러 종류의 동물들이 단순한 감정의 차원을 넘어 부러움, 동정심, 이타주의,정의감 등 미묘하고도 복잡한 심리상태를 갖고 있는 것으로 믿고 있다고 보도했다.
타임은 이 동물행태학자들은 그렇다고 해서 동물들이 고도로 발달된 도덕이나윤리의식을 갖고 있다고 보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최소한 일부 동물들에게 이런 의식의 선구적 단계에 해당되는 감정은 있다고 확신한다고 밝혔다.
예를 들어 베코프 교수는 개들의 놀이는 참가자들이 끊임없이 자신의 의도를 나타내고 자신의 행동이 정확하게 해석되도록 확인하는 복잡한 사회적 상호작용임을입증할 수 있었다.
에모리대학의 프란스 데왈 교수는 원숭이들의 행태를 연구하면서 이들이 서로협력해야만 음식을 얻을 수 있을 때 힙을 합치는 것은 물론 한마리가 혼자서 음식을독차지할 수 있을 때도 나머지 원숭이들과 음식을 나눠먹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 모두에게 똑같이 별로 좋아하지 않는 오이를 줄 때는 불평없이 먹던 원숭이가 옆의 동료는 '고급 음식'인 포도를 먹는데도 자신은 여전히 오이를 먹어야 하는 경우에는 놀기를 거부하는 것이 목격됐다.
데왈 교수는 "이것은 나와 똑같은 일을 하는 동료가 월급은 두배를 받는 것을 봤을 때의 내 심정과 같다"고 비유했다.
데왈 교수는 또 원숭이들이 '동정심'을 갖고 있음을 입증하는 관찰사례도 소개했다.
한 수컷 원숭이가 싸움에서 패해 바닥에 주저앉아 울부짖고 있을 때 다른 원숭이들이 다가와 끌어안고 키스하거나 털을 다듬어 주면서 위로했다는 것. 게티스버그대의 스티븐 시비 교수는 생쥐들이 뒤엉켜 싸우는 놀이를 할 때 덩치큰 생쥐가 작은 놈에게는 짐짓 져주는 경우가 많다는 점을 들어 생쥐도 '공정한 게임'에 대한 감각을 갖고 있다고 주장했다. 베코프 교수는 "동물들은 원시적 형태의 도덕심은 갖추고 있다"면서 "이는 모든동물들 가운데 유독 인간들 사이에서만 갑자기 도덕적 행태가 나타났다는 주장 보다진화론에 더욱 일치하는 생각"이라고 지적했다. (뉴욕/연합뉴스)
한 수컷 원숭이가 싸움에서 패해 바닥에 주저앉아 울부짖고 있을 때 다른 원숭이들이 다가와 끌어안고 키스하거나 털을 다듬어 주면서 위로했다는 것. 게티스버그대의 스티븐 시비 교수는 생쥐들이 뒤엉켜 싸우는 놀이를 할 때 덩치큰 생쥐가 작은 놈에게는 짐짓 져주는 경우가 많다는 점을 들어 생쥐도 '공정한 게임'에 대한 감각을 갖고 있다고 주장했다. 베코프 교수는 "동물들은 원시적 형태의 도덕심은 갖추고 있다"면서 "이는 모든동물들 가운데 유독 인간들 사이에서만 갑자기 도덕적 행태가 나타났다는 주장 보다진화론에 더욱 일치하는 생각"이라고 지적했다. (뉴욕/연합뉴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