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1.05.06 15:54 수정 : 2011.05.06 16:10

“빈라덴, 구속하지 않고 죽일 목적…국제법 논란 일 것”

미 해군 특수부대가 알 카에다 지도자 오사마 빈 라덴의 은거지를 습격하는 ‘제로니모’ 작전을 수행하면서 체포가 목적이 아니라 ‘살해’하라는 명령을 받았다고 일본 <교도통신>이 6일 보도했다.

교도통신은 ‘작전의 전모를 아는 미국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미국 정부가 지금까지 ‘빈 라덴이 저항했기 때문에 살해했다’고 설명했지만, 애초부터 구속하지 않고 죽일 목적이었다는 점에서 국제법 논란이 일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다. 미 특수부대가 빈 라덴을 사살한 뒤 몇시간 만에 서둘러 아라비아해에 수장한 것도 살해작전의 시나리오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미 정부 관계자는 빈 라덴을 붙잡지 말고 죽이라고 명령한 배경에 대해 “재판에 넘기면 (안전한 법정을 설치하거나 변호사를 대는 비용으로) 수백만 달러가 들어간다”고 말했다고 통신은 전했다.

또 이 관계자는 재판을 거쳐 처형한 사담 후세인 전 이라크 대통령의 예를 들며 “미국 정부는 (독재자나 테러 지도자의) 최후의 주장이 세계에 전파되는 재판을 원하지 않는다”고 말했다고 통신은 덧붙였다.

빈 라덴을 장기간 구속할 경우 그를 탈출시키기 위한 테러가 일어날 수도 있고, 미국인이 외국에서 인질로 잡힐 우려도 있다는 점도 지적했다.

미 정부 관계자는 또 작전을 실행에 옮기기 전에 “예행연습을 충분히 했다”면서 파키스탄의 방공 레이더를 무력하게 만들 정교한 전자 장비를 실은 헬리콥터를 작전에 사용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현대 이슬람 정치 전문가인 미야타 오사무 시즈오카 현립대 준교수는 “(빈 라덴) 살해는 진상을 감추기 위한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빈 라덴은 1980년대에 미 중앙정보국(CIA) 등과 협력해 소련과 싸웠고, 그 후에도 어떤 관계가 있었을 개연성이 있다”고 주장했다고 통신은 전했다.

하지만 게리 세이모어 미 백악관 국가안보위원회 대량살상무기(WMD) 조정관은 이날 주일 미 대사관에서 회견을 열고 빈 라덴 살해가 대테러 전쟁의 일환이었다고 설명하며 “적어도 미국 정부의 국제법 해석으로는 정당한 근거가 있었다”고 반박했다.


디지털뉴스팀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