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1.05.21 18:43 수정 : 2011.05.21 20:28

간 나오토 일본 총리

원전 ‘소문피해’ 줄이고 경제·관광 되살리려 한·중 정상 방문 요청

한-중-일 정상은 21일 오후 도쿄에서 3국 정상회담에 앞서 세계가 주목하고 있는 원전 사고 지역인 후쿠시마 피난소를 나란히 찾아 눈길을 끌었다.

이번 3국 정상의 후쿠시마 방문은 일본의 간 나오토 총리가 집요하게 요청하고, 한국과 중국이 이를 수용해 이뤄졌다.

중국은 애초 방사성 물질 오염 문제 등을 들어 원자바오 총리가 후쿠시마에 들어가는 것에 난색을 표시했지만 결국 간 총리의 요청을 받아들였다.

이날 3국 정상이 찾은 후쿠시마시 이재민 대피소는 사고가 난 후쿠시마 제1원전에서 65㎞ 정도 떨어진 곳이다.

이명박 대통령과 원자바오 중국총리는 이날 전용기편으로 미야기현에 들어와 3·11대지진으로 큰 피해를 입은 나고시에서 헌화했다. 이 대통령은 이어 나가시의 유리아게의 가옥파괴현장을 들러보고 백합과 백장미 다발을 들고 30초간 묵도를 올렸다. 이어 한-중 두 정상은 간 총리와 함께 후쿠시마현 대피소를 방문해 이재민들을 위로했다.

일본 정부는 이 대피소가 지난 11일 일왕 부부가 방문했던 곳으로 현재 원전 반경 30㎞와 40∼50㎞권내의 일부 ‘계획적 대피구역’을 제외한 지역은 안전하다고 주장하지만 멜트다운 상태에 놓인 후쿠시마 원전의 상황을 감안하면 한-중 정상의 방문은 이례적이라고 할 수 있다.

미국은 자국민에게 원전에서 80㎞ 밖으로 대피할 것을 권고한 바 있다.

따라서 일본 정부가 한국과 중국 정상에게 후쿠시마현을 방문해 달라고 요청한 것 자체가 통상적인 시각에서 보면 큰 외교적 결례라고 할 수 있다. 누구보다 이를 잘 아는 간 총리가 한-중 정상의 후쿠시마 방문을 집요하게 요청한 데는 그만큼 상황이 절박하기 때문이다.


우선 원전으로 인한 오염이 세계가 알고있는 것처럼 그렇게 심각한 상황이 아니라는 것을 호소하려는 의도가 읽혀진다.

<아사히신문>도 “일본쪽은 (3국정상이) 나란히 후쿠시마현을 방문함으로써 동북지방의 부흥과 안전을 국내외에 호소해 (원전사태로 인한) 소문피해를 억제하려는 목적이 있다”고 분석했다.

후쿠시마 원전 제1발전소 모습.
원전 사고 이후 일본의 농산물 등 식품류는 수출이 거의 막혔다. 공산품까지 피해를 받고 있는 실정이다. 이른바 ‘소문피해’가 일본의 성장 동력인 수출에 큰 타격을 가하고 있다. 3국 정상이 후쿠시마를 방문했다는 것은 그 자체로 일본에게는 상징적 의미가 적지 않은 것이다.

원전 사고 이후 일본행 발길이 뚝 끊긴 관광의 복원도 일본으로선 시급한 과제이다. 지난 4월 일본을 찾은 외국 관광객은 62.5% 격감했다. 한국 관광객은 66.4%, 중국 관광객은 49.5% 줄었다.

간 총리에게는 한중 정상의 후쿠시마 방문이 정치적으로도 큰 도움이다. 야당인 자민당과 정적인 오자와 이치로 전 민주당 간사장 등 민주당내 비판세력으로부터 대지진과 원전사고 대응을 잘못하고 있다며 사퇴압력에 시달리고 있는 간 총리로서는 눈에 보이는 외교적 성과가 필요한 상황이다.

한편 한-중-일 정상은 22일 도쿄에서 정상회담을 열어 방재, 원자력안전, 재생가능 에너지 이용추진 등의 분야에서 협력을 확인하는 내용의 정상회담 선언을 발표할 예정이다. 일본 정부는 후쿠시마 원전사고로 일본 밖에서 우려의 소리가 높아지고 있는 점을 감안해서 사고에 관한 교훈의 공유와 투명성 확보를 내세우는 등 이번 정상회담을 전화위복의 계기로 삼으려는 기색이 역력하다. 또한 후쿠시마 제1원전에서 나온 방사능오염물질을 한국 등 인접국가에 제대로 알리지 않은채 인근 바닷가에 무단 방류해 국제적 비난을 산 점을 고려해 원전 사고가 발생한 경우 연락체제의 점검도 협의할 예정이다. 김도형 선임기자/@aip209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