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1.06.03 19:22
수정 : 2011.06.03 23:02
홍레이 중 외교부 대변인 “조작”
클린턴 “FBI가 수사할 것”
미국과 중국이 구글의 이메일 해킹을 계기로 사이버 공격에 대한 날선 공방을 벌이고 있다.
훙레이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2일 “중국 정부가 해킹을 지원하고 있다는 말은 전적으로 조작이다”라고 말했다. 그는 미국 및 한국 관리들이 사용하던 구글의 지메일이 중국에서 발원한 사이버 공격으로 해킹당했다는 구글 쪽의 발표에 대해 “받아들일 수 없다”고 덧붙였다.
구글은 전날 중국 산둥성 지난에 있는 ‘불량분자’들이 미국 관리들이 사용하는 지메일에 피싱 이메일을 보내, 해당 이메일 계정을 해킹했다고 발표했다. 구글은 이번 사이버 공격에 중국 정부가 직접적으로 연루됐다는 가능성을 언급하지는 않았으나, 지난은 인민해방군 기술정찰국이 위치해 있는 곳이다. 기술정찰국은 미국의 국가안보국(NSA)에 해당하는 기구이다. 구글이 자신의 서비스에 대한 해킹 발원지로 중국을 지목한 것은 지난해 초 이후 세번째이다.
힐러리 클린턴 미 국무장관도 이날 기자회견에서 “구글의 발표에 대해 아주 우려하고 있다”며 “이런 혐의는 아주 심각한 것이다”라고 말했다. 그는 연방수사국(FBI)이 이 사건을 수사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제이 카니 백악관 대변인도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이 공격을 알고 있다고 전해, 미국 최고위층 차원에서 이번 사건에 대처하고 있음을 시사했다.
미국에서는 최근 군수회사 록히드마틴과 공영방송 <피비에스>(PBS)에 대한 사이버 공격이 잇따라 사이버 경계령이 내려진 상태이다. 중국 쪽도 최근 중국의 사이버 대처능력이 미국에 비해 뒤떨어진다며, 군과 정부의 인터넷 대응을 주문하고 있다고 <월스트리트 저널>은 전했다. 지난달 27일 중국공산당 기관지인 <중국청년보>는 인민해방군 군사학아카데미 교수인 예정 대령의 기고를 통해 베이징은 사이버전 기술을 연마하고 있다고 전했다. 예정 교수는 “산업화시대에 핵전쟁이 전략적 전쟁이었던 것처럼, 사이버전은 정보화시대의 전략전이 되고 있다”며 “사이버전은 대량파괴전 형태가 되고 있으며 국가의 생사와 관련된다”고 주장했다.
미국도 이번달에 기밀해제되는 국방부의 공식 사이버전략 문서를 통해 사이버공격이 전쟁행위에 해당되며, 무력으로 대응할 수 있다는 전략을 채택했다고 미국 언론들이 전했다. 정의길 선임기자
Egil@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