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2.02.20 19:01
수정 : 2012.02.20 19:01
동독 인권운동가 출신
내달 연방총회서 선출
공석인 독일 대통령 자리에 동독의 인권운동가 출신인 요아힘 가우크(72)가 오른다. 이로써 독일은 통일 이후 처음으로 ‘동독 출신’ 대통령-총리를 두게 됐다.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는 19일 가우크를 신임 대통령 후보로 추대한다고 밝혔다. 독일 대통령은 상징적인 국가원수로, 하원의원과 16개 주의회 대표로 구성된 연방 총회의 표결을 통해 다음달 18일까지 선출된다. 이미 메르켈이 이끄는 중도우파연합과 중도좌파 사민당·녹생당 사이 합의가 끝나, 가우크는 사실상 대통령으로 확정된 셈이다.
가우크는 2010년 사민당과 녹색당의 후보로 대통령에 출마했다가 지난 17일 부패 혐의로 사임한 크리스티안 불프에 패한 바 있다. 당시 메르켈은 여론의 반대를 무릅쓰고 불프를 지명했지만, 이번엔 ‘불프 스캔들’이라는 골치아픈 이슈를 해결하고 정국의 초점을 다시 유럽 재무위기로 돌리기 위해 서둘러 가우크를 지지하고 나섰다.
가우크는 제2차 세계 대전 초반인 1940년 동독에서 태어났다. <에이피>(AP) 통신은 그가 공산당 가입을 거부했다는 이유로 언론인의 꿈을 접어야 했으며, 루터파 목사가 된 이후 공산당 정권 반대에 앞장섰다고 전했다. 1990년 통일 직후에는 동독의 비밀경찰 슈타지의 기록을 보존하는 ‘구동독 문서관리청’을 10년간 이끌었다.
가우크는 대통령 지명 직후 기자회견에서 “전쟁 속에 태어나 50년간 독재 치하에서 산 사람들이 그동안 나를 움직여왔고, 이 나라의 대통령으로 불렀다”며 소감을 밝혔다. 첫 동독 출신 총리인 메르켈도 “우리는 삶의 한 부분을 동독에서 보냈고, 자유를 향한 우리의 꿈은 통일로 현실이 됐다”고 말했다.
한편, 2008년 니더작센주 주지사 때 받은 특혜 대출 혐의 등으로 사퇴한 불프 전 대통령은 연간 19만9000유로(약 3억원)의 연금도 잃을 위기에 처했다고 <데페아>(dpa) 통신은 전했다. 전직 대통령 발터 셸은 ‘대통령직 명예실추’를 이유로 불프의 연금 박탈을 요구했으며, 여론조사결과 78%가 이에 찬성했다. 전정윤 기자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