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8.01 19:05 수정 : 2005.08.01 19:07

“미군 철수” 통보-“원조 중단” 맞서
미국, ‘안디잔 사태’ 등 인권문제 압박

9·11테러 이후 준동맹국 차원으로 격상됐던 미국과 우즈베키스탄 간의 관계가 두 나라 관계가 회복할 수 없는 국면으로 급냉하고 있다.

우즈베키스탄 정부가 미군 기지 철수를 요구하자, 미국이 우즈베크의 인권 문제를 본격 거론하고 나선 것이다. 양국 관계는 지난 5월 우즈베키스탄 정부군 발포로 수백명이 사망한 ‘안디잔 사태’ 이후 미국이 인권문제를 거론하면서 악화돼 왔다.

우즈베크는 지난달 29일 미국이 주도해 키르기스탄으로 피신했던 안디잔의 난민 439명을 루마니아로 후송한 것과 때를 같이해 180일 이내에 카르시하나바드(K2) 공군기지에서 모든 미군 항공기와 요원 및 장비를 철수하라고 통보했다.

이에 맞서 미 국무부는 안디잔 사태에 대한 국제조사에 협조하지 않는다면 원조를 중단하겠다고 위협하고 있다. 미 의회는 아프카니스탄 침공의 배후 보급기지를 해 온 K2기지 대여해 준 우즈베키스탄에 대한 올 원조약 5800만달러를 배정했으나 콘돌리사 라이스 국무장관이 우즈베크의 인권상황에 대한 권고안을 내놓을 때까지 2200만달러의 집행을 보류하도록 했다.

번스 차관은 <뉴욕타임스>와 회견에서 우즈베크 방문 계획 취소를 밝히면서 “이슬람 카리모프 정권의 인권문제를 간과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혀 앞으로 우즈베크와 관계에서 군사전략보다 인권문제를 중시할 것임을 내비쳤다.

앞서 지난달말 도널드 럼스펠드 국방장관은 우즈베크를 빼고 인근 키르기스탄과 타지키스탄을 방문해 미군 주둔협상을 통해 긍정적 답변을 얻는 등 K2공군기지 폐쇄에 대비해 왔다.

외신종합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