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상규명위는 또 이번 조사에서 토목 노동에 동원된 `조선인 노동자 연명부'도 처음 발견해 그동안 어려움을 겪었던 토목 징용자 피해를 조사할 수 있게 됐다. 1945년 8월 29일 홋카이도 오비히로 토목현헙소장 나카타 가즈이치가 작성해 오비히로 경찰서장에게 제출한 이 명부에는 조선인 148명의 이름, 나이, 본적지 등이 기록돼 있다. 다음은 비바이탄광 사망자 명단(출신지별.연도는 출생연도.일본식 이름은 창씨개명한 것) ▲경북 달성 △천태수(옥포면, 22년) △양금수(〃, 18년) △신사봉(〃, 16년) △전명조(화원면, 18년) △(월배면, 22년) △김서학(안평면, 13년) ▲경북 의성 △전용수(비안면, 16년) △(〃, 21년) △김두봉(단촌면, 15년) △박춘하(신평면, 19년) △이유구(성서면, 11년) △윤병철(봉양면, 13년) △김두칠(〃, 17년) △박규진(가음면, 20년) △(금성면, 16년) ▲경북 영천 △□(금호면, 11년) △(자양면, 11년) △(임호면, 22년) △(〃, 17년) △(북안읍, 20년) ▲경북 안동 △유삼원(풍천면, 04년) △(〃, 12년) △임진섭(임하면, 09년 3월12일) △정학준(길안면, 14년) △이수룡(〃, 13년) ▲경북 칠곡 △강수석(왜관면, 18년) ▲경북 대구부 △이팔수(내장동, 12년) ▲경북 구미 △(고로면, 11년) ▲주소불명 △박판근(03년) △김규식(18년) △김삼진(19년) △김기수(15년) (끝) (서울=연합뉴스)
|
일 비바이탄광 매몰 한국인 신원 확인 |
1941년 3월 일본 홋카이도 미쓰비시 비바이탄광에서 발생한 폭발사고로 사망한 한국인 징용자 32명의 신원이 `일제 강점하 강제동원 진상규명위원회'의 현지조사 결과 처음으로 확인됐다.
진상규명위는 6월부터 홋카이도 일대에서 조사를 벌여 조선인 희생자 명단이 수록된 사고 수습일지와 비바이 탄광의 갱도 지도 등 관련자료를 입수핵고 14일 밝혔다.
비바이탄광 폭발사고는 1941년 3월 18일 탄광 내 쓰도갱에서 발생한 사고로 일본 패전 전 최대의 탄광사고로 기록된다.
진상규명위가 입수한 자료는 탄광회사인 미쓰비시 측이 직접 작성한 `통동변윳'와 `통동변재일지'로 일본인 학자가 소장하고 있던 문서다.
이 중 통동변윳는 생존자 구출과 시체 수습을 위해 사고 후 작성된 지도로, 이에 따르면 조선인일수록 탄광 입구에서 가장 먼 막장에 집중 배치된 점이 뚜렷핵.
한국인 사망자 중 15명은 수습이 됐으나 17명은 폐광처리되면서 아직도 막장에 묻혀 있으며, 수습된 한국인 유해가 한국에 송환됐는지는 이번에 발굴된 자료에는 기록돼 있지 않았다.
또 시체 수습과정과 사망자 명단이 기읜 통동변재일지에는 날짜별 구조 기록과 조선인 사망자의 본적지, 생년월일 등이 자세히 기록돼 있다.
진상규명위원회는 일지를 토대로 국내 유족의 증언 청취, 조선인 희생자에 대한 장례비 및 위로금 지급 사항, 유골 송환 및 당시 노동현장의 차별을 집중 조사할 계획이다.
진상규명위는 또 이번 조사에서 토목 노동에 동원된 `조선인 노동자 연명부'도 처음 발견해 그동안 어려움을 겪었던 토목 징용자 피해를 조사할 수 있게 됐다. 1945년 8월 29일 홋카이도 오비히로 토목현헙소장 나카타 가즈이치가 작성해 오비히로 경찰서장에게 제출한 이 명부에는 조선인 148명의 이름, 나이, 본적지 등이 기록돼 있다. 다음은 비바이탄광 사망자 명단(출신지별.연도는 출생연도.일본식 이름은 창씨개명한 것) ▲경북 달성 △천태수(옥포면, 22년) △양금수(〃, 18년) △신사봉(〃, 16년) △전명조(화원면, 18년) △(월배면, 22년) △김서학(안평면, 13년) ▲경북 의성 △전용수(비안면, 16년) △(〃, 21년) △김두봉(단촌면, 15년) △박춘하(신평면, 19년) △이유구(성서면, 11년) △윤병철(봉양면, 13년) △김두칠(〃, 17년) △박규진(가음면, 20년) △(금성면, 16년) ▲경북 영천 △□(금호면, 11년) △(자양면, 11년) △(임호면, 22년) △(〃, 17년) △(북안읍, 20년) ▲경북 안동 △유삼원(풍천면, 04년) △(〃, 12년) △임진섭(임하면, 09년 3월12일) △정학준(길안면, 14년) △이수룡(〃, 13년) ▲경북 칠곡 △강수석(왜관면, 18년) ▲경북 대구부 △이팔수(내장동, 12년) ▲경북 구미 △(고로면, 11년) ▲주소불명 △박판근(03년) △김규식(18년) △김삼진(19년) △김기수(15년) (끝) (서울=연합뉴스)
진상규명위는 또 이번 조사에서 토목 노동에 동원된 `조선인 노동자 연명부'도 처음 발견해 그동안 어려움을 겪었던 토목 징용자 피해를 조사할 수 있게 됐다. 1945년 8월 29일 홋카이도 오비히로 토목현헙소장 나카타 가즈이치가 작성해 오비히로 경찰서장에게 제출한 이 명부에는 조선인 148명의 이름, 나이, 본적지 등이 기록돼 있다. 다음은 비바이탄광 사망자 명단(출신지별.연도는 출생연도.일본식 이름은 창씨개명한 것) ▲경북 달성 △천태수(옥포면, 22년) △양금수(〃, 18년) △신사봉(〃, 16년) △전명조(화원면, 18년) △(월배면, 22년) △김서학(안평면, 13년) ▲경북 의성 △전용수(비안면, 16년) △(〃, 21년) △김두봉(단촌면, 15년) △박춘하(신평면, 19년) △이유구(성서면, 11년) △윤병철(봉양면, 13년) △김두칠(〃, 17년) △박규진(가음면, 20년) △(금성면, 16년) ▲경북 영천 △□(금호면, 11년) △(자양면, 11년) △(임호면, 22년) △(〃, 17년) △(북안읍, 20년) ▲경북 안동 △유삼원(풍천면, 04년) △(〃, 12년) △임진섭(임하면, 09년 3월12일) △정학준(길안면, 14년) △이수룡(〃, 13년) ▲경북 칠곡 △강수석(왜관면, 18년) ▲경북 대구부 △이팔수(내장동, 12년) ▲경북 구미 △(고로면, 11년) ▲주소불명 △박판근(03년) △김규식(18년) △김삼진(19년) △김기수(15년) (끝) (서울=연합뉴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