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3.03.03 21:02
수정 : 2013.03.03 21:32
주민들 “제철소 찬성쪽에서 테러”
경찰 “투쟁위쪽서 제조하다 사고”
포스코가 제철소 건립을 추진중인 인도 동남부 오리사주의 한 집에서 폭발사고가 발생해 최소 4명이 사망했다. 사망한 사람들은 포스코 제철소 건립을 반대하던 주민들이다.
인도의 <더 힌두> 등 외신들은 2일 저녁(현지시각) 오리사주 파트나 마을의 포스코저항투쟁위원회(PPSS) 회원의 집에서 폭발이 일어나 마나스 제나(32) 등 활동가 4명이 숨졌다고 전했다. 경찰은 이들이 사제 폭탄을 만들다가 사고가 난 것으로 보고 조사를 벌이고 있지만, 주민들은 포스코를 지원하는 불량배들이 폭탄 테러를 일으킨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프라산트 파이크라이 포스코저항투쟁위원회 대변인은 “제철소 건립을 추진하는 쪽에 고용된 불량배들이 폭탄을 던졌다. 이는 명백히 우리 대표인 압하야 사후를 겨냥한 것이지만, 저녁이라 어두운 탓에 성공하지 못하고 다른 활동가 4명이 사망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무고한 시민들을 공격한 것을 비난하며 범인들을 빨리 체포하라고 촉구했다. 하지만 이 지역 경찰 관계자는 “주민들은 이들이 뒷마당에서 제철소 건립 반대운동에 사용할 폭발물을 제조하다가 폭발사고가 발생했다고 말하고 있다”며 이 주장을 일축했다.
이 사건은 오리사주 정부가 제철소 건립용 부지 매입을 재개한 직후 발생한 것이다. 지난달 3일 수백명의 무장경찰이 고빈드푸르 마을에 진입해 포도밭 몇개를 철거하는 등 부지 매입이 본격화되면서 주민들의 반발도 거세지고 있다.
이곳 제철소 사업은 포스코가 9년째 난항을 겪고 있는 사업이다. 포스코는 2005년 6월 오리사주 정부와 양해각서를 맺고 제철소 건설에 나섰다. 2020년까지 모두 120억 달러를 투자해 연산 1200만t 규모의 일관 제철소를 세운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이후 토지수용 과정에서 제철소 건설부지에 거주하고 있는 주민들의 반대에 부딪혀 사업은 부지확보부터 차질을 빚고 있는 상태다. 2007년부터 오리사주 정부가 원주민을 강제 이주시키려는 과정에서 폭력사태도 자주 빚어지고 있다.
환경운동연합과 국제민주연대 등은 지난달 7일 주한 인도대사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강제 토지수용을 중단하라는 성명을 발표하기도 했다. 포스코 관계자는 “현재 오리사주 정부가 나서 부지를 확보하고 있는 단계이며, 일관 제철소 건립은 계획대로 추진중”이라고 밝혔다.
이형섭 이완 기자
sublee@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