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3.03.20 21:03 수정 : 2013.03.21 09:35

러시아 수백억 유로 예치금 겨냥
독 ‘은행예금 과세 요구’ 등 강수

유로존과 국제통화기금(IMF)이 구제금융 대가로 ‘은행예금 부담금’을 요구해 촉발된 ‘키프로스 사태’ 뒤에는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힘겨루기가 자리잡고 있다.

유로존의 이례적인 조처가 “독일의 강경한 방침 때문”이라는 외신 보도들은 지금 ‘정설’로 받아들여진다. 키프로스 은행에는 고율의 이자와 돈세탁을 노린 러시아 자금 200억유로 이상이 예치돼 있는데, 독일이 이를 겨냥했다는 것이다. 9월 총선을 앞둔 메르켈 정부가 “구제금융 중 상당액을 차지하는 독일 납세자의 돈으로 러시아의 돈세탁을 도왔다”는 비판을 피해 가고, 러시아 정부에도 키프로스에 대한 지원을 압박하려고 초강수를 뒀다는 분석이다.

미국 <월스트리트 저널>은 푸틴 대통령이 이런 계획을 “불공정하고, 전문적이지 않으며, 위험하다”고 비난했다고 보도했다.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러시아 총리도 “남의 돈을 몰수하는 것과 같다. 시행된다면 러시아가 이를 바로잡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러나 19일 키프로스 의회에서 구제금융 비준안이 부결되고 러시아가 키프로스 재무장관을 모스크바로 불러들이자 상황이 급변했다. 이번엔 메르켈 총리가 강한 불만을 드러냈다. 그는 “키프로스의 협상은 오직 트로이카하고만 진행돼야 한다”며 러시아의 개입을 비판했다. 트로이카는 국제통화기금과 유럽중앙은행(ECB),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를 의미한다. 볼프강 쇼이블레 독일 재무장관도 “무책임한 해결책은 안 된다. 구제금융을 요청한 것은 키프로스”라고 유감을 표명했다.

전정윤 기자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