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3.06.18 20:07 수정 : 2013.06.18 21:31

피해국 터키·남아공·러시아 격앙
“전면조사·책임자 강력조처” 요구

영국 <가디언>이 16일 에드워드 스노든(29)의 자료를 토대로 “영국과 미국이 2009년 런던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때 각국 대표단의 전화와 이메일을 감시했다”고 폭로한 것에 대해 피해국 정부가 격앙된 반응을 보였다.

터키 외교부는 17일 앙카라 주재 영국 대사를 초치했다. 터키 외교부는 “영국 정부가 터키 재무장관과 대표단 15명의 전화를 도청하고 컴퓨터를 감시한 것을 용납할 수 없다. 사실로 확인된다면, 나토 동맹에 대한 수치스러운 행위”라고 강한 어조로 항의했다. 특히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터키 총리가 “영국 <비비시>(BBC) 방송이 (터키의 반정부) 시위와 폭력을 조장한다”며 ‘국제사회의 음모’를 주장해온 터라, 양국 관계가 더욱 악화될 가능성도 있다.

남아프리카공화국 외교부도 성명을 내어 “영국 정부가 전면적인 조사를 벌여 책임자에 대한 강력하고 가시적인 조처를 취해주길 바란다”고 요구했다.

2009년 당시 러시아 대통령이던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총리는 미국이 그를 도청했다는 보도에 반응하지 않았다. 다만 러시아 연방회의(상원) 국제문제위원회 소속의 이고르 모로조프 의원은 “2009년은 러시아와 미국의 관계 재정립이 발표된 때다. 양국 관계를 재정립하겠다는 버락 오바마의 말을 어떻게 믿겠는가”라고 반문했다.

영국 북아일랜드에서 열리고 있는 주요 8개국(G8) 정상회의에 참석 중인 데이비드 캐머런 영국 총리는 “안보나 정보 문제와 관련해서는 말하지 않겠다”며 답변을 피했다.

전정윤 기자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